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임신 전 고위험음주군의 경우 임신 중·출산 후 우울증 1.7배 증가, 거대아 발생 위험도가 2.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백경란 청장) 국립보건연구원(권준욱 원장) 김원호 박사 연구팀이 ‘한국인 임신 등록 코호트’를 활용해 발표한 ‘임신 전 산모의 음주가 태아 발달 이상을 통한 거대아* 출산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이번 연구는 이전 동물모델을 이용한 ‘임신전 음주에 의한 태아발달이상 및 거대아 발생 증가’에 대한 연구 결과를 실제 임신 경험을 가진 여성에게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임신 중 음주 폐해 결과(기존 여러 보고에서 임신 중 음주 노출은 저체중아 출산위험이 증가)와는 달리, 가임기 여성의 임신 전 고위험음주가 이전 동물모델에서의 결과와 동일하게 ‘거대아 출산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을 임상 코호트에서 처음으로 확인했다.
◆가임기 여성 ‘임신 전 음주’ 폐해 연구 관련 근거 부족
예전부터 ‘임신 중 음주’에 의한 산모 건강과 태아 발달 폐해는 잘 알려져 있었지만 가임기 여성에서의 ‘임신 전 음주’에 의한 폐해 연구와 관련 근거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임신 중 산모 술을 마시는 비율 1~5% 수준
우리나라를 포함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에서는 임신 중인 산모가 술을 마시는 비율은 매우 낮은 1~5% 수준이다.[국내 임신 경험 여성(1,675명) 분석 결과, 대상자의 11.58%가 임신 중 1회 이상 음주 경험, 이 중 1.43%가 임신 기간 내내 음주]
산모가 임신 사실을 알게 된 후 대부분 음주를 중단하거나 음주량을 크게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성 월간폭음률
최근 가임기 여성에서의 음주율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2019년 기준 여성 월간폭음률 19-29세 44.1%, 30-39세는 26.2%였다.
고위험음주율(1회 평균음주량이 여자 5잔이상이며 주2회 이상 음주)은 각각 9.0%와 8.1%이다.
▲임신 전 음주 폐해 영향 관련 연구 필요
지속적으로 평균 출산연령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여성의 음주 노출은 대학 및 사회진출 이후 오랜 시간이 유지되며, 보건학적 예방관리 측면에서의 임신 전 음주 폐해 영향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지난 2020년 6월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임신 전 2주 동안 알코올을 섭취한 암컷 쥐에서 임신 능력의 감소와 태아 발달의 이상 및 거대아 출산율이 증가한다는 사실과 원인을 처음으로 보고한 바 있다. (학술지 : Scientific Report)
◆한국인 임신 코호트 중 2,886명 분석, 연구
하지만 실제 임신 경험을 한 여성들의 임신 전 음주에 의한 산모와 태아 발달 이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김원호 박사 연구팀은 실험동물모델 결과의 후속연구로 국립보건연구원에 이미 구축 중인 한국인 임신 코호트 중 2,886명을 분석, 연구했다.
해당 연구는 세 가지 군[임신 전 음주를 전혀 하지 않은 비음주군(561명, 19.4%), 일반 음주군(2,099명, 72.7%), 고위험 음주군(226명, 7.8%)]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한국인 임신코호트 활용, 분석 연구 결과
한국인 임신코호트를 활용, 분석한 연구 결과 임신 전 고위험음주군에서 거대아 발생률이 7.5%로, 비음주군(2.9%), 일반 음주군(3.2%)에 비해 2.5배 이상 높았다. (그림 1, A 참고)
또 임신 전 월별 음주잔 수에 따라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20잔 이상 섭취 군’부터 거대아 발생이 유의적으로 증가했다. (그림 1, B 참고)
(그림1)임신전 알코올 섭취 형태에 따른 거대아 발생률 및 출생몸무게 비교
▲‘임신 전’ 고위험음주, 거대아 출산위험 위험 지표 첫 확인
임신 전 음주 상태 구분에 따른 거대아 출산 위험 예측을 위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 1 참고) 거대아 발생 주요 위험인자들의 보정 후에도 임신 전 고위험음주군에서만 거대아 출산 위험도가 비음주군 또는 중간위험 일반음주군에 비해 2.3배 증가했다.
(표1)임신 전 알코올 섭취 상태 구분에 따른 거대아 출산 위험도 평가
이는 가임기 여성에서 ‘임신 전’ 고위험음주가 거대아 출산위험을 높이는 독립적인 주요 위험지표임을 처음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거대아 여부 임신 초기 예측 위험예측모델 개발 필요
현재까지 신생아에서 거대아 발생 진단은 초음파, 양수량 측정, 태아 키 측정 등의 방법을 사용 중이지만 그 정확성이 매우 낮은 상황이다.
거대아 여부는 병원 출산을 한 이후에 확인할 수 있어, 거대아 발생의 위험을 임신 초기에 더 빨리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위험예측모델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거대아 발생 위험예측력 약 10.6% 증가
거대아 발생위험을 예측하는데 기존의 위험예측모델에 임신 전 고위험 음주를 추가 적용한 모델의 분별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추적 후 거대아 출산에 대한 절대 위험분포 각 구간을 재분류하여 적용한 결과 기존 거대아 예측 모델 대비, 임신 전 고위험음주를 포함한 신규 모델에서 거대아 발생 위험예측력이 약 10.6% 증가했다.
(표2)추적 후 거대아 유무 대상자들에서 음주 상태 재분류 통한 추정위험 정확도 분석]
(그림2)임신전 음주에 의한 거대아 출산 위험도 증가 모델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임신 중 음주의 위험성과 함께, ‘임신 전 음주’ 역시 태아 발달 이상을 통한 거대아 출산위험을 높인다는 직접적 근거를 한국인 임신 코호트를 통해 처음으로 제시하는 것이다”며, “임신 전 음주의 여부가 거대아 출산위험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위험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과 향후 새로운 위험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 것이다”고 밝혔다. (그림 2 참고)
또 “임신 중 음주에 대한 폐해와 함께, 가임기 여성에서의 장기간 노출되는 임신 전 음주도 산모와 태아의 건강, 그리고 출생 후 아기의 성장발육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위험성 관련 교육·홍보 자료와 건강관리지침 등에 활용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임상역학(Clinical Epidemiology)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PLOS One(IF 3.58)의 8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한편 거대아(macrosomia)는 아기 출생 몸무게가 4,000g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