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지난 7월2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9차 뇌졸중적정성평가 결과 급성뇌졸중 진료를 제공하는 국내 233개 병원 중 42.5%만 뇌졸중집중치료실을 운영하고 있고, 여전히 많은 뇌졸중환자들이 급성기에 적절한 치료 사각지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대한뇌졸중학회(회장 권순억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 이사장 배희준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가 절반이하 병원만 ‘뇌졸중집중치료실’을 운영하는 대표적인 이유 2가지를 제시했다.
◆저수가
현행 뇌졸중집중치료실 입원료 1일 수가는 종합병원 기준 13만 3,320원이지만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시행하는 병동에 입원하는 경우 16만 710원으로 집중치료실 수가가 오히려 일반병동 입원료보다 더 낮다.
상급종합병원은 뇌졸중집중치료실 수가가 일반 중환자실 입원료 수가의 절반 정도 수준이다.
유사한 준중환자실인 고위험산모 집중치료실 수가에 비해서도 15% 정도 낮다.
뇌졸중집중치료실은 중환자실에 준한 환자모니터링설비와 전문성을 갖춘 의료진의 24시간 진료가 필요하지만 낮은 수가 때문에 병원들은 손해를 감수하면서 시설과 인력을 투입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전문인력 부족
뇌졸중집중치료실은 24시간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신경학적 증상의 변화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 신경을 전공으로 하는 의사의 24시간 근무체계가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중증뇌졸중환자가 많이 내원하는 대학병원의 경우 전체 뇌졸중의 80% 이상인 허혈뇌졸중의 진료를 주로 담당하는 신경과 전문의와 전공의가 뇌졸중집중치료실의 24시간 근무체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고령화에 따라 증가하는 뇌졸중환자와 뇌졸중집중치료실 진료의 확대보급을 위해서는 관련 분야 전문의 배출을 늘려야 한다.
하지만 전문과목별 전공의 정원 정책에 따라 신경과 전공의 정원은 10년 이상 제자리로 2022년의 경우 수련병원 신청 대비 배정정원이 약 30명 적어 뇌졸중진료현장에서 만성적인 전문인력 부족이 발생하고 있다.
뇌졸중학회는 “그동안 뇌졸중집중치료실의 보급과 확산을 위해 지난 2012년부터 뇌졸중집중치료실 인증사업을 진행해 왔지만 여전히 더딘 보급의 근본적인 원인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와 보건당국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며, “뇌졸중의 사회적 부담을 줄이고 환자들의 예후를 개선하는 중요한 수단인 뇌졸중집중치료실의 확대보급을 위해서는 먼저 적절한 수가를 통한 보상과 전문인력배출을 위한 전공의 정원 증원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급성기 뇌졸중환자는 발생 후 수일간 활력징후가 불안정하며, 뇌졸중 증상의 악화, 재발 및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아 전문 의료진의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급성기 뇌졸중환자를 일반병동이 아닌 뇌졸중집중치료실(Stroke Unit)에서 치료하는 경우 예후가 더 좋다는 여러 임상연구들의 결과를 토대로 국내뿐 아니라 대부분 국가의 뇌졸중진료지침들은 급성기 뇌졸중환자의 입원치료를 뇌졸중집중치료실에서 수행하도록 최고 수준의 근거로 권고하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