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정형외과 시술 바로알기]‘허리 통증 유발’ 허리디스크…초기 진단, 맞춤형 치료 중요 초기 방문시 보존적 치료로도 증상 호전 기대 2022-06-15
김지원 newsmedical@daum.net

현대인의 만성질환 중 하나인 허리디스크는 허리 통증이나 골반 통증, 다리 통증을 유발하며,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을 끼친다. 


허리디스크의 정식 명칭은 ‘요추간판 탈출증’이다. 


디스크는 척추뼈 사이를 연결해주는 연결 조직을 가리키며, 디스크는 중앙의 수핵과 수핵을 둘러싼 섬유륜으로 구성된다. 


광주 탄탄정형외과 김지영(대한정형외과학회 정회원) 원장은 “잘못된 자세나 노화 등의 이유로 수핵을 둘러싼 섬유륜이 파열되면 수핵이나 섬유륜이 원래 자리에서 탈출하고, 신경관내로 돌출되어 신경을 압박하면서 통증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허리디스크 초기…약물치료나 자세교정으로도 호전  

허리디스크 초기에는 허리에 찌릿한 통증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평소 허리가 묵직하게 느껴지거나 허리를 앞으로 숙일 때, 의자에 앉아있을 때 통증이 심해지는 게 특징이다. 


누워서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완화되기 때문에 병원 가기를 미루는 사람들이 많다.


증상이 더욱 심해지면 허리는 물론 엉치, 다리, 발까지 저리고 당기는 통증이 발생하고, 하반신이나 발가락 등에 힘이 빠지는 마비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심하면 거동이 어려워져 응급실을 방문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김지영 원장은 “주로 앉아서 오래 생활하는 학생, 직장인에게서 허리디스크가 나타나기 쉽고, 한 번 발생하면 학업이나 직장생활에 지속적인 불편을 겪게 된다. 초기에는 약물치료나 자세교정으로도 호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되도록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디스크…언제든 통증 재발 가능 

한 번 손상된 디스크는 다시 재생되지 않고, 완치의 개념이 없기 때문에 언제든 통증이 재발할 수 있다. 


따라서 허리디스크 전조 증상이 나타난다면 가급적 빠르게 병원에 방문해야 원인을 빠르게 파악하고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허리디스크 초기에는 약물치료, 주사치료, 고주파 치료 등 보존적인 치료로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이러한 치료로도 진전이 없다면 신경차단술, 신경성형술, 감압술 등의 시술 치료를 받아야 한다. 


김지영 원장은 “정형외과의 모든 치료는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며, 디스크 치료에 대한 풍부한 임상경험, 전문적인 시스템을 갖춘 병원을 선택하는 게 좋다.”며, “사람마다 각기 허리디스크 증상이 다르고 생활 습관도 다르기 때문에 1:1 맞춤 상담을 통해 개개인 맞춤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허리디스크는 생활습관 교정은 물론 진행상태에 따른 정확한 진단과 맞춤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전문의를 찾아 자신에게 적합한 치료방법을 찾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메디컬월드뉴스]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