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원 newsmedical@daum.net
최근 직장인들의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가 ‘거북목증후군’이다.
사무실에 앉아서 업무를 해야 하는 직장인들은 많은 시간을 컴퓨터 앞에서 보내고, 업무에 집중하다 보면 어느새 목과 허리는 모니터 화면에 가까워지기 마련이다.
자신도 모르게 습관이 되어버린 자세가 이렇게 고질적인 질환을 일으켜 생활에도 지장을 주기도 한다.
◆거북목증후군이란?
거북목증후군은 목을 앞으로 거북이처럼 쭉 내민 자세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더힘의원 송파문정점 정승호(대한도수학회 정회원) 원장은 “목뼈를 옆에서 볼 때 C자의 정상적인 커브가 보여야 하는데, 일자 형태의 수직을 보이거나 뒤집어지는 C자 모양으로 변형된 상태를 거북목증후군이라고 한다.”고 설명했다.
◆거북목증후군 원인
거북목증후군의 원인은 아래를 내려다보는 구부정한 자세를 장기간 지속되면서 나타난다.
오랜 기간 구부정한 자세를 갖게 되면 목과 어깨 주변 근육에 긴장이 오게 되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장시간 스마트폰이나 PC를 이용하거나, 체형에 맞지 않는 높은 베개 사용 등이 거북목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거북목증후군 증상
증상으로는 목덜미가 쉽게 결리고 피로해지거나, 목이 뒤로 젖혀지지 않고 심한 경우 두통이 나타날 수 있다.
고개를 숙일 때도 목과 어깨 부근이 뻐근하고 통증이 있을 때도 거북목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증상이 심한면 목과 어깨뿐만 아니라 팔에도 통증과 저림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거북목증후군 치료 방법
거북목의 대표적인 치료 방법 중 하나로 도수치료가 있다.
도수치료는 뭉친 근육을 이완시켜 만성 통증을 감소시키며 신체구조의 변형을 바로 잡아준다.
정승호 원장은 “단순히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마사지와는 달리 환자 컨디션에 따라 1주일에 1~2회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며, “도수치료를 통해 급∙만성 통증 조절, 근육 기능과 근육 유연성을 회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거북목증후군 예방법
거북목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업무 중에 중간중간 스트레칭을 해주고, 컴퓨터 사용 시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정승호 원장은 “거북목 치료는 초기에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게 될 경우 디스크로 발전할 수 있어 증상이 지속됐을 때는 병원에 방문해 자세하게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