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관 newsmedical@daum.net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이 지난 12일 개최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18회 심의회의(10.12)에서 ‘제3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2022~2026)’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이번 추진전략의 목표는 우수성과 현장적용, 백신·치료제 국산화, 방역전략물품 확보, 감염병 보건안보수준 및 대응기술수준 향상 등이다.
◆4대 추진전략+13대 중점과제 제시
그간 1~2차 추진전략을 통해 양적투자가 확대[최근 5년간(2015~2019) 감염병 연구개발(R&D) 총 투자규모는 1조 2,864억 원이며, 주요사업 기준 2021년 예산규모는 약 4,376억으로 2020년(3,534억) 대비 24.9% 증가했다]됨에 따라 투자효율성 강화가 더욱 중요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이에 따라 이번 추진 전략은 코로나19 등 신·변종 감염병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포스트 코로나 대비 감염병 연구개발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것으로 4대 추진전략(① 국가 감염병 R&D 책임기반 강화, ② 감염병 위기 극복 핵심기술 조기 확보, ③ 감염병 연구 협력 생태계 확대, ④ 전방위 미래 방역체계 구현)과 13대 중점과제를 제시했다.
◆연계방안 마련+긴급대응체계 구축
향후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를 중심으로 감염병 연구기관[참여대상 : 9개 부처청 감염병 R&D를 수행하는 국가 연구기관(약 13개 기관) 및 국제기구(국제백신연구소 등) 포함] 간 협력체계를 구축해 R&D 우수성과가 현장에 활용될 수 있도록 연계방안을 마련한다.
또 위기상황 시 방역당국 요청에 따른 국가필요 주문형 연구(진단・치료제・백신 등)를 최우선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긴급대응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메디컬월드뉴스]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