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건강보험 본인부담상한제’환급금…보험사 주머니로? 최근 5년간 민원접수 6배 증가 등 2021-10-02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국민 의료비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건강보험 본인부담상한제’환급금이 보험사 주머니로 들어가며, 오히려 국민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봉민(부산 수영구)의원실이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보험사에서 실손보험금을 지급할 때 상한제 환급금 전액을 공제하고 지급함에 따라 접수된 민원이 최근 2016년 30건에서 2020년 178건으로 5년 사이 6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 제출 자료에 따르면, 2016년~2021년 실손보험사가 미지급한 금액은 2,658억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관련 기간 관 입장도 대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은 보험사가 환급금을 사전추정하고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관행은 가계 가처분 소득에 영향을 준다는 입장이다. 또 소비자원의 경우 보험사에서 환급금의 일정비율을 고려하지 않고 전액을 공제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답변을 제출했다.


하지만, 금융감독원은 실제 부담한 치료비에 대해서만 보장해야하기 때문에 환급금 전액 공제가 타당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보험사들이 고객의 환급금 지급액 확인을 위해 증빙서류 제출을 요구하는 사례에 대해 ‘개인정보보호법’침해 소지가 있다고 답변했다.
이에 대해 전봉민 의원은 “관련 기관들이 수년 째 이 문제에 대한 해결을 하지 않고 방치한 사이, 국민만 피해를 보고 있다”며, “하루속히 기관 간 협의 및 제도개선이 이루어져 의료비부담 경감이라는 본인부담상한제 제도 본연의 목적이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