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2021년도 코로나19 국내 치료제·백신 개발 임상지원 예산 1,314억중에 21%(271억원)만 집행됐으며, 백신개발 임상지원예산은 집행액이 전무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봉민(부산 수영구)의원실이 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21년도 코로나19 국내 치료제·백신 개발 임상지원 사업현황’에 따르면 치료제 지원예산도 지난해 선정된 사업에 대한 부족분을 지원한 것으로 올해 실제 집행액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표)2021년 코로나19 국내 치료제/백신 개발 예산 집행현황
정부는 지난 2020년 7월 3차 추경에서 “코로나19 국내 치료제와 백신 개발을 끝까지 지원하겠다”며, 총 940억원의 임상지원 예산으로 편성했다. 올해도 각각 627억원과 687억원씩 총 1,314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이를 바탕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지난 1월과 3월에 두차례 사업공모를 실시해 1차에 치료제 5곳, 백신 1곳이 신청, 2차에는 치료제 2곳, 백신 1곳이 신청했지만 모두 심사기준을 넘지 못해 탈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추경예산으로 선정된 과제는 치료제 5건, 백신 5건이며, 올해 2월 조건부 허가를 받은 항체치료제인 셀트리온의 렉키로나가 520억원으로 가장 많은 지원을 받았다.
백신에서는 유바이오로직스가 94억원으로 가장 많고, SK바이오사이언스는 16억원의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3차 추경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임상지원 예산 집행현황
이에 대한 전봉민 의원은 “최근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가 급속도로 확산되는 상황에서 1년 가까이 추진된 국내백신 개발이 늦어지고 있다”며, “정부가 더욱 적극적으로 국내 치료제와 백신개발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