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보건의료데이터 표준화 로드맵(2021~2025) 마련…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생태계 조성 추진 표준화 대상 범위 확장, 표준 가이드라인 제시 등 2021-04-28
임재관 newsmedical@daum.net

보건의료데이터 표준화 로드맵(2021~2025)이 마련, 발표됐다.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지난 27일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산하 ‘데이터 특별위원회 제2차 회의’를 통해 이같은 로드맵을 발표하고, 국제 기준에 맞는 보건의료데이터 표준화와 활용 생태계 조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보건의료데이터 표준화 로드맵은 그간 국가보건의료용어표준의 성과와 한계를 바탕으로 데이터 활용에 유리한 구조의 국제 용어·기술 표준을 적극 수용해 다양한 데이터 결합·활용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표준화 대상 범위를 확장하고, 현장 활용 확산을 위한 표준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올해부터 2025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추진되는 보건의료데이터 표준화 로드맵은 5개 핵심 추진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용어 표준화
우선 의료용어 표준화를 위해 연구 수요가 높은 분야부터 단계적으로 국제용어표준(SNOMED-CT, Systematized Nomenclature of Medicine Clinical Terms : 국제 비영리 표준개발기구인 SNOMED International 관리 및 배포, 체계적으로 구조화되어 전산처리 가능한 의료용어집합) 기반 표준참조용어세트 및 용어 매핑 가이드라인을 개발한다.
올해부터 한국인 주요 10대 호발암, 감염병 중심으로 우선 추진하고, 2025년까지 심뇌혈관, 만성질환 등에 대해 단계적으로 구축한다.
그간 발전시켜온 보건의료용어표준(KOSTOM)과 국제용어표준의 연계를 통해 K-표준용어체계를 마련한다.

◆차세대 전송기술 표준(FHIR) 도입
보건의료 데이터 교류 활성화를 위해 차세대 전송기술 국제표준인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 : HL7사가 개발한 차세대 의료정보 프레임워크, 다양한 형태 데이터 구현, CDA 등과의 데이터 매핑, 폭넓은 상호운용성 지원)을 도입·확산한다.
이를 위해 한국형 공통데이터 항목·서식을 정의하고, 기존 표준인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를 FHIR로 전환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개발·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미래형 데이터 표준 마련
이를 통해 마련된 용어·기술 표준을 EMR 인증과 연계하고,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연구중심병원 등 선도 그룹부터 표준화 활용 사례를 단계적으로 확산한다.


◆표준화 선도사례 실증·확산
헬스케어 기기 보편화에 발맞춰, 개인생성건강데이터[PGHD: 웨어러블 기기나 모바일 앱을 통해 개인(환자)이 작성·기록·수집하는 증상, 생체 인식 데이터, 라이프로그 등의 데이터]와 임상데이터의 연계·활용을 위해 실제 사례들을 중심으로 수집항목, 측정방식, 전송표준 등을 포함한 표준화를 마련한다.
이를 통해 임상정보와 마이헬스웨이 플랫폼, 건강관리서비스 간 연계 지원을 위한 표준화 가이드라인을 개발,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표준화 추진기반 강화
지속가능한 표준화 정책 수립·추진을 위해, 민·관 협력 거버넌스를 구성, 분야별로 심도 있는 논의 및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 나간다. 
또 안정적인 표준 개발 및 관리·확산, 보건의료 표준 전문인력 양성, 국제 협력체계 강화 등을 위해 표준화 전담기구를 설치해 지속적으로 표준화 정책을 지원해나간다는 계획이다.


복지부 이강호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이번 ‘보건의료데이터 표준화 로드맵’을 통해, 보건의료 분야의 다양한 데이터가 서로 연계·활용되기 위한 기본 방향이 수립됐다”며, “표준화를 바탕으로 보건의료 데이터의 안전한 활용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의료서비스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정밀의료 등 미래의료 구현과 관련 산업 활성화를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보건의료데이터 표준화는 보건의료표준화 연구(2004~2009) 실시, 한국보건의료용어표준[KOSTOM :7개(진단, 의료, 검사 등) 21만개 용어 개발(2009년), 고시 제정(2014년) 이후 매년 개정] 고시 제정 및 국제용어표준 국가 라이선스 구입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왔다. 
그러나 의료데이터 표준화 미흡에 따른 前처리 비용·시간 등으로 인해, 임상 및 산업적 연구의 데이터 활용 활성화에 기반한 표준화 전략과 방안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