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개정 법률안 국회 본회의 통과 2020-10-12
김나성 newsmedical@daum.net

코로나19 여파로 국내 소비지출이 위축되고 상가임차인의 매출 및 소득이 급감하는 경제 위기가 지속됨에 따라 임대료가 상가임차인 영업활동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개정은 경제적 위기로 고통 받는 상가임차인에 대한 실효성 있는 구제책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에 개정된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임시 특례 규정 마련
개정법 시행일로부터 6개월의 기간 동안은 그 사이에 연체한 차임액을 계약해지, 계약갱신 거절, 권리금회수 기회 보호 제외 사유가 되는 차임연체액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보도록 해 코로나19로 인한 전례 없는 경제위기 동안 영업기반을 상실할 위기에 처한 상가임차인들의 위험부담을 완화했다.


▲감염병 등 피해에 따른 차임증감청구권 명확화
차임증감청구 사유에 코로나19와 같은 제1급감염병 등에 의한 경제사정의 변동을 명시하여  임차인들로 하여금 차임감액청구권을 원활하게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
제1급감염병에 의한 경제사정의 변동으로 임대료가 감액된 후 임대인이 다시 증액을 청구하는 경우 감액 전 임대료에 달할 때까지는 5% 증액 상한을 적용하지 않아, 임대인과 임차인 간의 형평성을 고려했다.


정부는 “개정법이 코로나19로 위한 위기 상황 속에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이번 개정법에 대한 신속한 상담 진행 등 유관기관에서 개정법 내용에 따라 적극적으로 국민들께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고 밝혔다.
또 “그동안은 법률구조공단 지부(6개)에만 분쟁조정위원회가 있었지만, 오는 11월 1일부터 임대인과 임차인간 분쟁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분쟁조정위원회가 확대 설치‧운영된다. LH와 한국감정원도 분쟁조정위원회의 운영 기관으로 추가하고, 현재 설치된 6곳 이외에도 12곳을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며, “이번 개정을 계기로 코로나19로 인한 전례 없는 경제위기 상황에서 불가항력적인 사유로 생존권을 위협받는 상가임차인을 보호하고, 임대인과 임차인간의 고통분담을 통해 상생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