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암 수술 폐경여성, 갑상선 자극 호르몬 억제제 복용 ‘골밀도 감소’ 현상 뚜렷
서울백병원 윤병호 교수팀, 11편 논문 메타분석
2020-06-05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갑상선암 수술을 한 여성들이 골다공증에 더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정형외과 윤병호 교수팀이 11편의 연구논문을 메타 분석(유사한 주제의 연구논문을 종합해 분석한 연구방법)을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교수팀은 폐경 여성 중 갑상선 자극 호르몬 억제요법을 시행한 그룹(318명)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 그룹(538명)을 비교한 결과 엉덩이뼈, 고관절, 척추뼈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골밀도 감소 현상을 보였다고 밝혔다.
폐경 전 여성과 남성에서는 뚜렷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윤병호 교수는 “11편 논문 중에는 호르몬 억제제 복용과 골밀도 감소 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연구 결과부터 최대 18%까지 골밀도 감소 현상을 보인 연구 결과 등이 있었다”며, “모든 논문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대조군보다 3~4%가량 뚜렷한 골밀도 감소 현상을 보였다”고 말했다.
또 “이번 연구는 폐경 여성이 갑상선 자극 호르몬 억제 요법을 오래 사용하면 골밀도 감소로 골다공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결과다”며, “해당 여성은 골다공증 예방에 더욱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스코프스(Scopus) 등재 국제 학술지인 JBM(Journal of Bone Metabolism) 최근호에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