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관 newsmedical@daum.net
2017년 보건산업 분야 신규 창업은 1,362개이고, 2011년~2016년 동안 보건산업 분야 창업기업의 휴폐업은 총 637개로 조사됐다.
또 최근 7년간 보건산업 분야 창업기업의 2018년 평균 매출액은 12억1000만 원이었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덕철)이 ‘보건산업 창업기업 실태조사’를 실시해(2019.6월~11월) 발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보건산업 창업기업 실태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규창업…화장품>의료기기 순
2017년 보건산업 분야 신규창업은 총 1,362개, 화장품 분야가 642개(47.1%)로 가장 많았으며, 의료기기 539개(39.6%), 연구개발업 110개(8.1%), 의약품 59개(4.3%), 기타 12개(0.9%) 등 순서로 나타났다.
최근 7년간(2011년~2017년) 창업기업은 총 7,462개 이고, 연도별 창업기업 수는 증가추세이며, 2011년 624개에서 2017년 1,362개로 대폭 증가했다.
화장품분야가 3,513(47.1%)개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의약품 341개(4.6%), 의료기기 2,879개(38.6%), 연구개발업 666개(8.9%), 기타 63개(0.8%) 등으로 조사됐다.
2017년 창업기업 수가 2016년 대비 소폭 감소한 것은 화장품 산업의 대외수출 환경 악화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2017년 신규 창업기업 중 개인 창업이 94.6%(법인창업 4.4%)를 차지했고, 38.8%가 벤처기업 인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산업 전체 휴폐업률 8.5%
보건산업 분야 창업기업의 휴폐업은 2011년~2016년 동안 총 637개로 조사됐다.
보건산업 창업기업의 전체 휴폐업률은 8.5%로 창업연차가 오래될수록 휴폐업률은 높게 나타났다.
휴폐업률은 연구개발업이 15.5%(103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약품 12.3%(42개), 화장품 9.1%(318개), 의료기기 6.0%(174개) 순이었다.
◆인력 현황
▲2017년 창업기업 신규 고용창출 절반이상 ‘화장품분야’
2017년 창업한 기업의 신규 고용창출은 총 7,661명으로, 화장품 분야가 4,057명(52.9%)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의료기기 2,591명(33.8%), 연구개발업 605명(7.9%), 의약품 363명(4.7%), 기타 45명(0.6%) 등 순서로 나타났다.
신규인력 중 연구개발인력은 총 2,349명으로 30.7%를 차지해 산업전체의 3.3%와 큰 차이를 보였다.(2019년 4월, 2018 창업기업 실태조사, 중소벤처기업부)
▲최근 7년간 생존 창업기업 총 고용인원 5만 955명
최근 7년간(2011~2017년) 휴·폐업 제외 생존 창업기업의 2018년 12월 기준 총 고용인원은 5만 955명이고, 연구개발 인력은 1만 5,090명으로 전체 종사자 중 29.6%를 차지했다.
기업 당 평균 종사자 수는 7.4명이고, 의약품 10.6명, 연구개발업 8.1명, 의료기기 7.4명, 화장품 7.2명, 기타 4.9명 등 순서로 나타났다.
산업 전체 창업기업 평균 종사자 수는 3.2명이다.(2019.4월, 2018 창업기업 실태조사, 중소벤처기업부)
▲필요 전문인력…연구개발 최고 비중
향후 필요 전문인력은 연구개발이 51.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유통 및 마케팅 48.0%, 영업 39.6%, 생산 및 품질관리 31.7% 등 순으로 조사됐다. (복수응답)
◆창업자금 조달
최근 7년간(2011년~2017년) 창업기업의 평균 창업자금은 3억 5,000만 원, 창업 이후 자금 조달액은 5억 9,000만 원으로 나타났다.
화장품이 4억 4,000만 원으로 창업자금이 가장 많이 들었으며, 의약품 4억 2,000만 원, 의료기기 2억 8,000만 원 등 순으로 조사됐다.
창업자금은 자기(본인)자금(67.0%), 민간금융(12.8%), 정부정책자금(10.1%), 개인 간 차용(9.7%) 순이었으며, 창업이후에는 정부정책자금(30.9%), 민간금용(26.7%), 자기(본인)자금(20.7%), 개인 간 차용(6.7%) 순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현황
최근 7년간(2011년~2017년) 창업기업의 2018년도 평균 매출액은 12억 1,000만 원이고, 창업 7년차 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26억 5,000만 원(1년차 기업 1.9억 원)으로 초기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장기 진입 시 매출액이 급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8년 12월 기준, 분야별 평균 매출액은 의약품이 15억 9,000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화장품 15억5000만 원, 의료기기 9억5000만 원 등 순서로 나타났다.
◆연구개발 활동
2018년 12월 기준 연구개발 인력 보유 기업의 연구개발비 지출금액은 3억7000만 원(평균), 매출액 대비 비중은 29.6%이다.
전체 보건산업 기업 중 63.6%의 창업기업이 연구개발 조직(연구소 31.5%, 전담부서 12.3%)・인력(19.8%)을 보유하고 있다.
연구개발비는 자체부담(1억7000만 원)과 정부재원(1억8000만 원)이 비슷한 비중을 보였다.
산업 전체로는 창업기업 평균 연구개발비 3,400만 원, 연구개발 전담 부서 및 인력 보유 4.5%, 연구개발 비중 0.9%(2019.4월, 2018 창업기업 실태조사, 중소벤처기업부)이다.
◆창업자 10명 중 9명…최대 애로사항 ‘창업자금 확보’
창업 시 가장 큰 애로사항은 창업자금 확보(88.9%)로 나타났으며, 창업 관련 지식․경험 부족(40.1%), 생계유지 문제(36.0%) 등 순서로 조사됐다. (복수응답)
창업 직전 취업상태가 82.4%, 창업까지 소요기간은 3년 미만이 91.3%로 조사됐다.
창업 직전 근무 직종은 연구·기술직(37.0%), 경영·관리직(29.0%), 영업·판매직(14.6%) 등 순이다.
◆최근 7년간 창업기업 37% 해외 진출
최근 7년간(2011년~2017년) 창업기업의 37.0%가 해외진출을 했고, 분야별로는 화장품 분야 기업이 반절 이상(50.9%)을 차지했다.
해외진출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은 현지시장 규격 및 인증 요구(58.4%), 거래처 발굴 문제(53.6%), 자금부족(47.7%) 등 순으로 나타났다. (복수응답)
산업 전체로 보면 창업기업의 해외진출은 1.8%, 해외 진출 시 애로사항은 거래처 발굴 문제(35.3%), 자금부족(33.7%), 기타(30.2%) 등으로 조사됐다(복수응답).(2019년 4월, 2018 창업기업 실태조사, 중소벤처기업부)
◆정부 창업지원 사업
창업기업의 57.4%가 창업지원사업 수혜 경험이 있고, 정책자금(62.6%), 연구개발(R&D)지원(47.6%), 사업화지원(28.5%) 등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 지원사업은 초기단계 금융지원(52.8%), 창업후 안정기까지 경제적․생계유지 지원(35.8%) 등 순서로 조사됐다. (복수응답)
창업지원 사업별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만족’ 이상(5점 만점에서 4점 이상)의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시설․공간(4.3점), R&D지원(4.2점), 판로·마케팅·해외전시지원(4.2) 등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복지부 임인택 보건산업국장은 “2017년도 보건산업 분야 신규 창업이 1,362개, 신규 고용도 7,662명이 창출되는 등 창업·고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실질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며, “보건산업은 의약학 분야 연구개발인력에 의한 기술창업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다른 분야에 비해 고용창출이 많아 양질의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또 초기 단계의 어려움을 극복하면 성장기 진입시 매출 등이 극대화되어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또 “정부는 앞으로 연구개발(R&D) 결과물이 혁신적 기업의 창업과 성장, 그리고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선순환적 보건산업 생태계를 조성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