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3m걸어가 되돌아와 앉는 데까지 20초 이상 시 고관절 골절 위험 2배 증가 삼성서울병원-보라매병원 교수팀, 66세 노인 107만명 분석 결과 2019-09-09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의자에서 일어나 걷는 것만 봐도 노인들의 골절 위험을 미리 알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3m를 걸어가 되돌아와 앉는 데까지 10초 이상이면 골절 위험이 높고, 20초 이상 소요시에는 고관절 골절 위험이 약 2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균관대의대 삼성서울병원 신동욱 교수, 서울대의대 보라매병원 정수민 교수팀은 2009년부터 2015년 사이 66세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을 받은 노인 약 107만명을 분석해 해외 저명 학술지 ‘뼈(Bone)’ 최근호에 발표했다. 


교수팀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결과를 토대로 검진 대상자를 평균 4.5년 간 추적 관찰해 골절 발생 여부와 관련 있는지 살펴봤다.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는 검진자가 의자에서 앉은 상태에서 일어선 뒤 3m를 걷고, 다시 돌아와 제자리에 앉기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다리 근력, 보행속도, 균형감각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10초가 되기 전에 들어와야 정상이다.

교수팀에 따르면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에서 소요 시간 10초대인 사람은 정상군 보다 골절가능성이 8% 가량 높게 나타났다. 20초 이상 걸리면 20% 이상 위험도가 상승했다. 

특히 임상적으로 중요한 골절중 하나인 고관절 골절의 경우에 10초대에서 19%, 20초 이상인 경우 2배 가까운 96% 급증했다. 

척추 골절 역시 10초대에서 13%, 20초 이상에서는 32%위험도가 높아져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고관절 골절은 발생후 1년내 5명 중 1명이 사망하고, 후유 장애가 남을 가능성이 높다. 척추 골절은 심한 통증과 함께 척추 변형을 유발해 노년의 삶을 무너뜨린다.


정수민 교수는 “근력이 감소하고 균형감, 유연성 등이 감소해 운동 기능이 떨어지면 골절 위험이 커지게 된다”며, “노인들의 경우 꾸준히 근력과 유연성 운동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동욱 교수도 “증상이 없는 골다공증은 선별 검사를 통해 골절 위험이 높은 사람을 미리 걸러내는 게 중요하다”며, “골절 위험이 높은 사람은 골밀도 검사 등을 통해 정확히 진단하고 필요시 칼슘이나 비타민D,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