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관 newsmedical@daum.net
한국원자력연구원(이하 원자력연)이 지난 2015년 이후 경주 방폐장으로 인도한 방폐물 2,600드럼 중 2,111드럼에 기재한 일부 핵종농도 정보에 오류가 있었으며, 한수원이 의뢰한 원전 방폐물 분석과정에서도 3,465개의 분석 대상 데이터 중 167개 데이터에 오류가 있음이 확인됐다.
지난 2018년 9월부터 약 10개월간 진행된 이번 조사는 원자력연이 발생시킨 방폐물과 원전 운영과정에서 발생한 방폐물 분석내용을 그 조사대상으로 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이같은 조사결과를 원자력연과 처분시설 운영기관인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하 공단) 등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과에 따른 ‘원자력안전법’ 위반행위에 대한 행정처분과 개선대책 등은 7월에 개최되는 원안위 전체회의를 통해 논의·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안전규제 전문기관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하 ‘안전기술원’)은 우선 원자력연이 경주 방폐장에 인도한 전체 방폐물(2,600드럼) 분석 데이터(약 6만개)에 대한 전수검증과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원자력연이 위탁받아 수행한 원전 방폐물 분석 데이터의 경우에는 한수원으로 하여금 전수검증과 척도인자 유효성을 재확인하게 하고 그 검증 내용 일체를 다시 검토하는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다만 오류 값을 정정해 비교한 결과, 원자력연 방폐물의 핵종 농도는 경주 방폐장의 처분농도제한치 이내이며, 원전 방폐물 척도인자의 경우에도 한수원이 사용 중인 값이 유효한 것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오류 내용은 업무 수행과정상에서의 다양한 실책과 원자력연이 자체개발한 SW(데이터 관리시스템) 관련 등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시료데이터 값 또는 측정·분석 결과를 잘못 기재하거나 유사하지 않은 드럼을 함께 분석하는 등의 절차상 문제와 데이터 관리시스템 운영과정에서 수식적용 오류가 발생한 사례 등이다.
전체적으로 계측기에서 도출된 측정값 관리부터 각종 분석·계산을 거쳐 최종 인수의뢰를 위한 정보기입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수준의 관리부실에 기인한 사안으로 이러한 관리부실을 발생시킨 근본 원인은 다음과 같이 판단했다.
즉 ▲원자력연은 핵종분석 업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체계화된 업무처리절차와 규정 마련 미흡, ▲분석과정의 오류 가능성에 대비한 검증절차 부재, ▲2015년 방폐장 운영개시에 따라 보유해 온 방폐물을 시급하게 처리하는 과정에서 시설?인력 부족, ▲방폐물 핵종분석은 원자력연이 거의 유일한 전문기관으로 처분 책임이 있는 공단조차도 과정검증 또는 결과 교차검증에 한계 등이다.
원안위는 원자력연, 공단 등 관련 기관으로 하여금 철저한 자체 분석을 통한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청했으며, 제도적 개선사항에 대한 검토도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또 이번 조사결과에 따라 공단에서는 확인된 드럼의 오류정보를 정정하고, 처분방사능량을 재평가하는 등 방폐장 안전운영을 위한 후속조치를 즉시 이행하도록 주문했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