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만성신장질환자에게 고요산혈증 치료가 도움이 된다는 장기간 추적 관찰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이대서울병원 (병원장: 편욱범) 신장내과 강덕희 교수는 미국, 이탈리아, 일본 등 국제 연구팀과 공동으로 만성신장병에서 요산강하제의 효과에 관한 무작위 배정 임상연구 결과들을 분석해 무증상 고요산혈증도 요산 강화제로 치료한 경우 신장 기능 저하를 지연시킬 가능성을 제시했다.
또 기존의 치료법인 만성신장병에서 통풍이나 요산결석이 없는 경우 고요산혈증에 대한 치료를 권장하지 않는 것과는 다른 소견으로 혈청 요산 농도와 만성신장병의 발생 및 악화 사이의 연관을 밝혀 향후 신장병 환자에서 고요산혈증의 적극적인 치료에 관한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국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번 연구는 강덕희 교수팀이 지난 20년간 수행한 요산의 작용에 관한 기초 연구와 임상연구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신장 전문 학술지인 ’Nature Review Nephrology(Impact factor 19.68)‘에 ‘고요산혈증 및 만성신장질환 환자에서 요산강하치료(The case for uric acid-lowering treatment in patients with hyperuricemia and chronic kidney disease)'라는 주제의 논문으로 게재됐다.
강덕희 교수는 이번 연구뿐 아니라 요산(Uric acid), 과당(Fructose),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과 신장병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Impact factor 70.67)을 포함한 저명한 해외 저널에 수십 편의 관련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강덕희 교수는 “이번 연구로 만성신장질환의 치료에서 고요산혈증의 치료가 도움이 된다는 내용을 장기간 추적 관찰로 입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며, “신장 기능에 따른 목표 요산 농도의 결정 등에 대한 향후 추가적인 임상 연구가 필요하지만 만성신장질환 환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치료법이 늘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고요산혈증(Hyperuricaemia)은 만성신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합병증이다.
하지만 만성신장병 환자에게 고요산혈증이 있어도 별다른 증상이 없으면 치료를 해야 하는지 또는 어떤 방법으로 요산 농도를 어느 정도까지 낮춰야 하는지에 관해서는 아직 뚜렷한 방침이 없는 상태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