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당신이 생각하는 적정수명은? 이상적 기대수명…저소득, 기혼자가 낮아 서울대병원 윤영호 교수팀, 성인 1,005명 대상 설문조사결과 2019-07-23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의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인간의 수명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각 개인들이 생각하는 적정수명은 어떨까?  

서울대병원 이지혜, 심진아, 윤영호 교수팀이 2016년 8월부터 9월까지 무작위로 전국의 일반인 1,0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동시에 응답자의 연령, 수입, 결혼여부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등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조사해, 이상적 기대수명과 관계를 연구했다.

그 결과 여러 요소 중 소득, 혼인상태, 사회적 건강이 이상적 기대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소득이 월 200만 원 이상인 사람은 200만 원 미만인 사람에 비해 이상적 기대수명이 약 1.48배 높았고, 사회적 건강을 최고, 아주 좋음으로 응답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이상적 기대수명이 약 1.39배 높았다.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신체적 건강은 이상적 기대수명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싱글인 경우 결혼한 사람에 비해 이상적 기대수명이 약 1.42배 높았다. 

윤영호 교수는 “저소득, 기혼자가 이상적 기대수명이 낮은 것으로 밝혀진 만큼 소득이 낮은 기혼집단을 위한 사회적 제도와 지원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단순한 신체적 건강 뿐 아니라 전반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회지 ‘아시안너싱리서치’(Asian Nursing Research) 최신호에 게재됐다.

한편 이상적 기대수명(ILE, Ideal Life Expectancy)은 개인이 주관적으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수명으로, 흔히 말하는 ‘얼마나 오래 살고 싶은가’에 초점을 맞춘 개념이다. 본인의 삶과 주변 환경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파악할 수 있는 간단한 지표로, 구성원의 이상적 기대수명이 높을수록 보다 건강한 사회일 수 있다.

사회적 건강(Social health)은 개인이 사회적으로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자신의 일을 적절히 수행하는 상태로, 응답자들은 “최고로 좋다”, “아주 좋다”, “좋다”, “조금 나쁘다”, “나쁘다” 범위로 답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