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원 newsmedical@daum.net
강남차병원(병원장 민응기)이 산부인과 단일 치료과목으로는 최단기간인 3년 10개월 만에 로봇수술 1500례를 달성했다.
이 병원은 지난 2015년 6월 처음으로 다빈치로봇수술을 시작한 후 1년 11개월만에 500례, 2년 11개월만에 1000례, 이어 3년 10개월 만인 2019년 4월에는 1500례를 달성했다.
이번 1,500례를 분석한 통계에 따르면 전체 수술 중 자궁근종 제거술이 976건(65.0%)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그 뒤를 이어 난소종양 325건(21.7%), 부인암 및 기타질환 199건(13.3%) 순이었다.
자궁근종 환자가 많은 이유로는 최근 초경 연령대가 빨라지고 결혼 및 출산연령이 늦어지면서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분석결과 로봇수술센터를 찾은 환자 10명 중 4명(41.6%)이 미혼여성이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47.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40대가 32.0%, 20대가 15.7%, 50대 3.6% 순으로 전체 환자 중 20~30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63.2%를 기록했다.
더불어 전체 수술 중 자궁적출술은 185건(12.3%)에 불과해 전체 환자 중 87.7%(1315건)가 가임력을 보존할 수 있었다.
또 전체 로봇수술의 41.0%(616건)는 배꼽 부위에 구멍 하나만을 뚫어 흉터를 최소화한 ‘단일공수술’로 진행됐다.
이러한 통계는 최근 젊은 여성들의 부인과 질환이 크게 증가하는 가운데 미혼여성을 중심으로 흉터 최소화 및 가임력 보존 등의 기능적 요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경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강남차병원 로봇수술센터장 성석주 교수는 “로봇단일공수술을 통한 자궁근종 제거술의 경우 자궁내막과 근육층, 외막층을 정교하고 섬세하게 꿰매는 절차를 세 번에 걸쳐 진행해 난이도가 매우 높다”며, “최근 안전성이나 가임력 보존, 수술 후 삶의 질 향상 등을 위해 단일공수술을 원하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수술에 앞서 의료진의 수술 숙련도 및 임상경험이 많은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메디컬월드뉴스]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