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관 newsmedical@daum.net
19세 이하 소아·청소년이 자전거 사고로 응급실을 내원하는 비율이 성인보다 약 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10명 중 7명이상이 헬멧을 착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응급실 내원환자의 절반이 외상성 머리손상인 것으로 분석됐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가 2012-2017년 동안 자전거 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현황 및 손상 발생 요인을 조사,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자전거 사고로 인한 손상 환자 수는 4만 6,635명으로 전체 교통사고 환자(27만 828명) 중 17.2%에 해당되며, 남성(3만 6854명)이 여성(9,781명)보다 약 4배 더 많았다.
특히 19세 이하 소아·청소년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 중 자전거 사고율(36.2%)은 성인(12.3%)보다 3배 높았으며, 이는 전체 자전거 사고율(17.2%)과 비교해서도 2배 높았다.
자전거로 인해 손상이 많이 발생하는 소아·청소년의 손상 발생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6월 다발=자전거 사고는 주로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2-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봄철인 5-6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주중보다는 주말, 오전보다는 오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다.
▲절반이 외상성 머리손상=자전거 사고로 인한 손상 부위는 외상성 머리손상(46.6%)이 주로 차지하며, 다음으로 상지(21.9%), 하지(15.7%)순으로 나타났다.
사고 발생 시 헬멧 착용은 4.6%에 그쳐 대부분 미착용(70.3%)으로 조사됐다.
▲활동별·장소별=손상 발생 시 활동 현황을 보면 여가활동(53.1%)과 일상생활(38.2%)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발생장소로는 주로 일반도로(44.5%)가 많았으며, 골목길도 높은 비중(28.7%)을 차지했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안전한 자전거 타기 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안전 교육과 캠페인을 통해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며, “어릴 때부터 안전한 자전거 운행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평소 학교와 가정에서 꾸준히 안전수칙을 준수하도록 지도해 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 일반 안내수칙]
▲자전거 헬멧 착용하기.
▲음주 후에는 자전거를 절대 타지 않기.
▲도로상에는 우측통행을 지키고 차량과 같은 방향으로 직선 주행하기.
▲이어폰과 핸드폰은 자전거 운행 시 사용하지 않기.
▲가방과 짐은 짐칸에 고정하여 이동하기.
▲어두워지면 전조등과 반사등을 반드시 사용하기.
▲교차로나 골목길에서 방향을 변경하거나 정지 시 손신호 사용하기.
▲주변에 보행자가 있을 시 경보벨을 울리거나 말을 하여 보행자의 주의를 유도하기.
▲내리막에서는 무리하게 속력을 내지 않으며 뒷바퀴에 먼저 제동을 가한 뒤 앞바퀴에 제동 가하기.
▲상시적으로 브레이크 점검을 비롯한 자전거 정비하기.
[메디컬월드뉴스]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