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국내 최초 재발성 난소암 분야 정밀의학 적용 가능성 시도 세브란스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대병원, 난소암 맞춤형 치료법 제시 임상시험 2019-01-07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난소암 분야에서 국내 처음으로 정밀의학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는 임상시험이 진행돼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이 삼성서울병원, 서울대학교병원과 손잡고 백금저항성 재발성 난소암 환자 대상 맞춤형 치료법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을 추진한다.


이번 연구는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 이정윤 교수가 연구책임자로 ‘백금 저항성 재발성 난소암에서 생체표지자 기반 표적 치료에 대한 우산형 연구’를 진행한다. 대한부인종양연구회 다기관 임상연구로 진행되는 이번 임상시험에는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김병기 교수와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김재원 교수가 공동 연구자로 참여한다.
이번 연구는 지난 2018년 12월 7일 세브란스병원의 첫 대상자 등록을 시작으로 향후 총 6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교수팀은 종양 유전체 분석 결과 등 생체표지자 정보에 따라 환자를 4개의 군으로 나눠 표적항암제?면역항암제를 각각 달리 적용해 경과를 살핀다는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치료 방법이 마땅치 않은 백금저항성 재발성 난소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난소암은 첫 항암치료 시에는 약제에 잘 반응하지만 대부분 재발을 경험하고 몇 차례 항암치료를 받으면 대부분의 환자가 더 이상 항암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백금저항성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어떠한 약제를 사용 하더라도 항암제의 반응률이 5-10% 정도로 매우 낮은 상태에 이른다.
특히 제약사 주도 임상연구가 대부분 난소암의 첫 항암치료 연구에 집중하는 반면 이번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은 치료법을 찾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공익적 연구라는데 의미가 있다.
이번 임상시험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백금저항성 재발성 난소암에서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한 표적항암제와 면역항암제 적용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정윤 교수는 “이번 연구로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없는 백금저항성 난소암 환자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치료법을 적용해 생존율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킬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독제석재단, 세브란스병원 의료질 향상을 위한 연구기금의 지원으로 수행된다.
한편 이번 임상시험은 유전자 정보에 기반해 환자 맞춤형 치료법을 제시하는 정밀의학이 암 치료 분야에서 점차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가운데 난소암 환자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 의식에서 출발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