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다금 newsmedical@daum.net
생리대, 팬티라이너, 탐폰 총 297개 제품에 대한 생리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검출량의 위해가 우려 수준이 아니라는 결과가 발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지난 2017년 9월 VOCs 저감화 정책에 따라 VOCs를 모니터링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VOCs는 전년대비 대부분 유사한 수준으로 검출됐고, 농약(14종)과 다환방향탄화수소류(PAHs 3종)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아크릴산은 더 낮은 수준으로 검출됐다.
식약처에서는 생리대의 VOCs 저감화를 위해 국내 생리대 제조업체 5개사[깨끗한나라, 엘지유니참, 웰크론헬스케어, 유한킴벌리, 한국피앤지로 생리대 전체 생산(수입)금액의 89%차지(‘17년 기준)]와 함께 정례협의체를 구성(2017.12.13.)하고, 제조공정 개선 방안 등을 논의해 왔다.
생리대 제조업체 5개사는 자체적으로 접착제나 포장재 변경, VOCs 자연휘발 시간 부여, 환기시설 보강 등의 저감화 개선 방안을 마련해 시행중이며, 정례협의체의 생리대 VOCs 모니터링 보고 자료에 따르면 전년도 대비 최대 검출량이 생리대는 66%, 팬티라이너는 65%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를 반영해VOCs 저감화 요령 가이드라인을 제정(2018.12.4), 내년부터 모든 생리대 업계가 저감화 정책에 참여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앞으로도 생리대 유해물질 모니터링을 통해 그 결과를 공개한다는 계획이며, VOCs에 대해서는 원인규명과 공정개선 등을 정례협의체와 지속해서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또 생리대, 팬티라이너, 탐폰 총 126개 제품을 대상으로 프탈레이트류 및 비스페놀 A에 대한 위해평가를 했으며, 그 결과 인체에는 유해하지 않음을 확인했다.
프탈레이트류와 비스페놀 A 등 유해물질 16종(DEHP, DBP, DIBP, DEP, DMP, DMEP, DIPP, PIPP, DNPP, DNHP, BBP, DCHP, DINP, DNOP, DIDP, BPA) 중 디메톡시에칠프탈레이트(DMEP) 등 11종은 모든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디에칠헥실프탈레이트(DEHP) 등 5종(DEHP, DBP, DIBP, DEP, DMP)은 검출됐지만, 유해한 수준은 아니었다는 분석이다.
식약처는 생리대 안전관리 강화 방안으로 생리대 품목허가(신고)증 상에 기재된 모든 원료를 용기 또는 포장에 표시하도록 전성분 표시제를 시행중이며(2018.10.25.), 생리대 허가·신고시 모든 구성원료의 제조원을 기재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관련 규정을 개정(2018.11.28.)했다.
앞으로 전성분 표시제와 관련해 착향제 중 알레르기 유발 26개 성분 표시 의무화 및 부직포 등의 세부조성 표시기준 마련 등 원료의 세부 성분 표시를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생리대 사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 시 신고방법과 연락처(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등도 표시해 소비자 알권리 강화를 위한 정보제공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 2017년 VOCs, 2018년 프탈레이트류의 위해평가 실시에 이어 내년에는 다이옥신류(17종)에 대한 위해평가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류영진 식약처장은 “생리대 등 여성용품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여성건강 안심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여성용품에 대한 안전관리를 더욱더 강화해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VOCs 모니터링 개요, ▲조사대상 물질 목록, ▲생리대 제조공정 단계별 VOCs 저감화 요령, ▲프탈레이트류 검사 개요 및 결과, ▲알레르기 유발물질 26개 성분은 (바로가기)를 참고하면 된다.
[메디컬월드뉴스]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