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조직적합성항원 절반만 일치해도, 성공적 조혈모세포이식 가능 급성백혈병, 희귀면역결핍질환, 희귀신경대사질환 등에 적용 가능 2018-08-31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급성백혈병이나 희귀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필수적인 치료방법인 조혈모세포이식 적용 대상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강형진, 홍경택 교수팀은 조혈모세포이식에서 조직적합성항원이 절반만 일치해도 성공적 이식을 시행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교수팀은 개인별 적정용량의 항암제(busulfan)와 이식 후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투여 요법을 실시하면 성공적인 반일치이식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강 교수팀은 2014년부터 총 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반일치이식을 실시한 결과 전체 환자 생존율은 85%였으며, 백혈병 등 악성 질환 환자는 82%, 비악성 희귀질환 환자는 91%의 생존율을 보였다. 


합병증인 이식편대숙주병은 급성과 광범위 만성이 각각 5.9%, 9.1%로 기존의 이식(5-15%, 15-25%)과 비교해 비슷하거나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국제이식등록기관에서 발표한 소아청소년 급성백혈병의 조혈모세포이식(혈연, 비혈연 포함) 성적이 질환 중증도에 따라 40-73%로 보고되는 것을 감안하면 해당 결과는 우수한 성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직적합성항원이 일치할 확률은 형제의 경우 25%에 불과하며, 조혈모세포은행을 통해 공여자를 찾은 경우에도 정확히 일치하기는 힘들다. 제대혈을 통한 이식을 시행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는 골수 생착이 늦고 감염 등 합병증이 많아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항암제(busulfan)는 조혈모세포이식에서 많이 쓰이지만, 치료 효과를 낼 수 있는 용량의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다. 용량이 높으면 독성에 따른 위험이 커지고, 낮으면 재발이나 조혈모세포이식 실패의 가능성이 높다. 


교수팀은 항암제 혈중농도를 면밀히 확인하면서, 환자상태에 따라 맞춤형 용량을 투여하는 방법을 고안해, 이를 반일치 조혈모세포이식에 접목했다고 밝혔다.


강형진 교수는 “반일치이식의 성공으로, 이제 거의 대부분의 환자가 공여자에 대한 걱정 없이 이식을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공여자 문제로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을 수 없던 많은 환자들에게 희망이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 관련 세계적 권위지인 ‘미국골수이식학회지(Biology of Blood and Marrow Transplantation)’ 온라인 최신판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