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비만 판단기준, 성별·연령별로 다를 수 있어 2012~2013년, 국민건강보험공단 38만 명 자료 코호트 분석 결과 2018-03-09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비만을 판단하는 기준이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형준 전공의·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김상혁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를 이용해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통한 비만 측정 기준점을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교수팀은 국내에서 건강검진을 시행한 성인 37만 9,405명(남성: 19만 3,653명, 여성: 18만 5,752명)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인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혈압, 공복혈당을 분석했다.


위험인자 두 개 이상이 기준점을 넘으면 비만으로 보고, 이를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만척도인 체질량지수(BMI), 허리둘레, 허리둘레-키 비율 기준점을 새롭게 분석했다.


그 결과 ‘체질량지수’는 연령대 별로 남성에서 23.1~24.8kg/m2, 여성에서 22.5~23.9kg/m2로 현재 한국에서 적용되는 비만기준에 따를 때, 대부분 ‘과체중 범위’에 해당했다.


‘허리둘레’의 경우 남성은 20대(83.0cm)와 50대(84.0cm)를 제외하고는 85.0cm에 가깝게 나타났으며, 여성은 20대(75.0cm)를 제외하고 30대 74.0cm에서 70대 81.0cm에 이르기까지 연령이 증가할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허리둘레-키 비율’은 남성 20대는 0.48, 30대와 40대는 0.49, 50~70대 0.51로 나타난 반면, 여성은 20대와 30대에서 0.47, 그 이후로 점차 증가해 70대는 0.54에 해당했다.

박형준 전공의는 “지금까지 비만기준은 남녀와 연령에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적용돼 왔다”며, “이것은 남녀 차이뿐 아니라 연령에 따른 호르몬과 체성분 변화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상혁 교수는 “만성질환의 일차예방 목적으로 비만관리는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비만에 대한 획일적 접근에서 벗어나, 성별과 연령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SCI급 학술지인 대한의학회지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최신호에 발표됐다.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