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다금 newsmedical@daum.net
셀트리온이 기존 화장품 제조에 활용되어 온 리포솜 기술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다양한 단백질 효능물질에 적용 가능해 화장품 제조 패러다임을 바꿀만한 혁신 기술이다.
셀트리온은 지난 12월 21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화장품의 주요 원료로 활용되는 상피세포성장인자 EGF(Epidermal Growth Factor)의 흡수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다중나노구조체 플랫폼 기술’에 대한 신기술(NET) 인증을 획득했다.
이 기술은 피부세포의 성장·재생 촉진 작용을 하는 단백질 ‘EGF’를 피부 내로 더 많이 전달할 수 있게 하는 단백질과 지질의 복합체 제조 기술이다.
EGF는 피부의 상처 치료 및 튼살 방지, 노화 예방, 탄력 증대 효능을 보여 많은 화장품의 주요 원료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그러나 이 단백질은 큰 분자량과 구조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피부세포 내에 전달하기가 쉽지 않다.
기존에는 EGF와 같은 큰 단백질을 피부에 전달하기 위해 속이 빈 방울 모양의 지질 이중층 구조인 ‘리포솜’ 내에 EGF를 봉입하여 효능 물질을 피부에 전달하는 ‘리포솜 기술’을 이용해 왔다.
그러나 그 봉입 효율이 20% 미만에 불과하며, 리포솜의 중량 대비 봉입된 단백질의 양은 지극히 적고, 고온 고압 환경의 리포솜 제조 공정 상 봉입된 생리활성단백질에 변성이 가해져 그 고유 효능이 저하되었으며, 이는 곧 화장품 제조기술의 한계점으로 인식되어 왔다.
셀트리온 생명과학연구소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5년간의 공동 연구를 통해 양이온성 지질인 DOTAP[3]과 단백질 간 정전기적 인력 원리를 이용한 다중나노구조체를 개발했으며, EGF의 지질 봉입 효율을 90% 이상으로 높였다.
EGF-DOTAP 다중나노구조체의 제조 과정 중 고온고압 환경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단백질 변성 요인이 근본적으로 개선되는 한편, DOTAP 지질이 EGF 단백질을 여러 겹으로 감싸게 함으로써 효능물질의 봉입률을 높이고 피부에 더 많은 효능물질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한편 셀트리온이 개발한 플랫폼 기술은 EGF 외에 다양한 단백질 효능 물질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셀트리온 연구소 측은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적용 분야를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셀트리온은 이번 신기술에 대해 국내 특허 등록 및 미국, 유럽, 아시아 등 해외 6개국의 PCT 출원을 완료했으며, 계열사인 셀트리온스킨큐어를 통해 신기술이 적용된 고 기능성 화장품 라인을 2018년 하반기에 선보일 예정이다.
셀트리온 생명공학1연구소 연구소장인 서진석 부사장은 “셀트리온의 우수한 바이오 기술을 화장품 분야로 확대·연계한 연구 결과를 신기술 인증을 통해 인정받게 되어 기쁘다”며, “바이오 기술을 접목한 심층 연구를 지속해 고효능 고효율의 바이오 화장품 개발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