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3명 중 1명, 주 1~3회 두통 경험…전문치료 인식 낮아
대한두통학회·잡코리아 직장인 905명 대상 공동 설문 결과
2017-01-23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직장인 3명 중 1명은 주 1~3회 두통을 경험하지만 전문치료 인식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두통학회(회장 김병건, 을지병원 신경과)가 1월 23일 ‘두통의 날’을 맞아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함께 직장인 90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직장인 29.3% 주 1~3회 두통 겪어, 한 달 8회 이상이면 만성두통 의심
이번 설문 조사에 참여한 직장인 905명 중 91%(824명)가 ‘최근 1년간 두통을 경험했다’고 답한 가운데, 두통 빈도를 묻는 질문에 29.3%가 주 ‘1-3회’, 8.2%는 ‘아픈 날이 더 많다’고 답했다.
즉 직장인 3명 중 1명은 만성두통의 위험이 있으며, 10명 중 1명은 만성두통으로 진단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국제두통학회(IHS) ‘국제두통질환분류’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주 2회 이상, 한 달에 8회 이상 두통은 만성두통 위험신호로 보며 한 달에 15회 이상 3개월 지속되면 만성두통으로 진단한다.
(표)직장인 두통 경험 횟수(n=905)
◆편두통 증상 많지만, 병원은 찾지 않고 전문 치료 인식도 낮아
두통 경험자 824명의 두통 양상은(복수응답) ‘속이 메슥거리거나 체한 느낌이 있다(43.2%)’, ‘머릿속이 심장 박동처럼 욱신욱신 아프다(32.4%)’, ‘빛이나 밝은 곳이 불편하다(14.5%)’는 등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모두 편두통 증상이다.
문제는 이들의 75.8%가 ‘두통 증상을 의사와 상담한 적이 없다’고 답했음에도 자신의 두통을 편두통(34.8%), 신경성 두통(21.1%), 긴장형 두통(7.8%), 목 디스크(2.1%) 등이라고 정의 내리는 등 자의적 판단으로 병명을 오인하는 경우가 흔했다.
또 두통 전문 치료에 대한 인식도 낮았다. 응답자의 65.1%는 편두통 전문 치료에 대해 ‘모른다’고 답했다.
편두통 전문 치료 인지 여부에 대한 응답(복수응답)은 ‘편두통 예방 치료’ 28.9%, ‘편두통 급성기 치료’ 11.6%, ‘편두통 보톡스 주사 치료’ 2.1%에 그쳤다.
◆두통, 소극적 대응시 일상에 악영향…두통 전문의 찾아야
대한두통학회 김병건 회장은 “두통은 소극적으로 대응할수록 점점 잦아지고 세지는 메커니즘을 가지는 병이므로 혼자 병명을 오인하고 임기응변식 대응을 하면 일상에 더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실제 이번 설문에서 두통 경험 직장인의 70.9%는 ‘결근은 아니지만 활동에 지장을 받는다’고 답했으며, ‘두통 때문에 결근한 적이 있다’고 답한 사람도 5.3%에 달하는 등 두통으로 인해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대한두통학회 주민경 부회장(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신경과)은 “두통은 원인과 양상이 매우 다양하고, 진단에 따라 대처법이 달라지므로 꼭 두통 전문의를 찾아 진료를 받는 것을 권한다. 특히 한 달에 8번 이상 머리가 아프면 만성두통의 경고임을 알아채고 신경과 두통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올바른 두통약 복용법 기억해야
이번 설문조사결과 직장인의 두통약(진통제) 복용 실태도 확인됐다.
두통 경험자 824명 중 두통약 복용시점을 ‘두통이 시작되고 나서 1시간 이내’로 알고 실천하는 이는 14.5%에 불과했다.
66.4%는 참다가 심해지면 두통약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19.1%는 두통약을 복용하지 않았다. 또한 평균 두통약 복용 횟수는 ‘일주일 평균 2일 이하’가 51%, ‘일주일 평균 3일 이상’이 5.2%였다.
(표)두통 발생 시, 두통약 복용 시점(n=824)
주민경 부회장은 “두통이 심해지고 나서 두통약을 복용하면 약물을 과용하게 돼 약물과용두통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올바른 두통약 복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며, “두통약은 두통 시작 후 1시간 이내에 복용하고, 카페인 등 여러 성분이 섞인 복합진통제는 한 달에 9일 이하, 단순진통제는 14일 이하로 복용 횟수를 조절해야 한다. 그보다 많은 두통약이 필요할 정도면 두통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하므로 병원에 반드시 방문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한두통학회(회장 김병건, 을지병원 신경과)가 1월 23일 ‘두통의 날’을 맞아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함께 직장인 90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직장인 29.3% 주 1~3회 두통 겪어, 한 달 8회 이상이면 만성두통 의심
이번 설문 조사에 참여한 직장인 905명 중 91%(824명)가 ‘최근 1년간 두통을 경험했다’고 답한 가운데, 두통 빈도를 묻는 질문에 29.3%가 주 ‘1-3회’, 8.2%는 ‘아픈 날이 더 많다’고 답했다.
즉 직장인 3명 중 1명은 만성두통의 위험이 있으며, 10명 중 1명은 만성두통으로 진단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국제두통학회(IHS) ‘국제두통질환분류’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주 2회 이상, 한 달에 8회 이상 두통은 만성두통 위험신호로 보며 한 달에 15회 이상 3개월 지속되면 만성두통으로 진단한다.

(표)직장인 두통 경험 횟수(n=905)
◆편두통 증상 많지만, 병원은 찾지 않고 전문 치료 인식도 낮아
두통 경험자 824명의 두통 양상은(복수응답) ‘속이 메슥거리거나 체한 느낌이 있다(43.2%)’, ‘머릿속이 심장 박동처럼 욱신욱신 아프다(32.4%)’, ‘빛이나 밝은 곳이 불편하다(14.5%)’는 등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모두 편두통 증상이다.
문제는 이들의 75.8%가 ‘두통 증상을 의사와 상담한 적이 없다’고 답했음에도 자신의 두통을 편두통(34.8%), 신경성 두통(21.1%), 긴장형 두통(7.8%), 목 디스크(2.1%) 등이라고 정의 내리는 등 자의적 판단으로 병명을 오인하는 경우가 흔했다.
또 두통 전문 치료에 대한 인식도 낮았다. 응답자의 65.1%는 편두통 전문 치료에 대해 ‘모른다’고 답했다.
편두통 전문 치료 인지 여부에 대한 응답(복수응답)은 ‘편두통 예방 치료’ 28.9%, ‘편두통 급성기 치료’ 11.6%, ‘편두통 보톡스 주사 치료’ 2.1%에 그쳤다.
◆두통, 소극적 대응시 일상에 악영향…두통 전문의 찾아야
대한두통학회 김병건 회장은 “두통은 소극적으로 대응할수록 점점 잦아지고 세지는 메커니즘을 가지는 병이므로 혼자 병명을 오인하고 임기응변식 대응을 하면 일상에 더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실제 이번 설문에서 두통 경험 직장인의 70.9%는 ‘결근은 아니지만 활동에 지장을 받는다’고 답했으며, ‘두통 때문에 결근한 적이 있다’고 답한 사람도 5.3%에 달하는 등 두통으로 인해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대한두통학회 주민경 부회장(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신경과)은 “두통은 원인과 양상이 매우 다양하고, 진단에 따라 대처법이 달라지므로 꼭 두통 전문의를 찾아 진료를 받는 것을 권한다. 특히 한 달에 8번 이상 머리가 아프면 만성두통의 경고임을 알아채고 신경과 두통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올바른 두통약 복용법 기억해야
이번 설문조사결과 직장인의 두통약(진통제) 복용 실태도 확인됐다.
두통 경험자 824명 중 두통약 복용시점을 ‘두통이 시작되고 나서 1시간 이내’로 알고 실천하는 이는 14.5%에 불과했다.
66.4%는 참다가 심해지면 두통약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19.1%는 두통약을 복용하지 않았다. 또한 평균 두통약 복용 횟수는 ‘일주일 평균 2일 이하’가 51%, ‘일주일 평균 3일 이상’이 5.2%였다.

주민경 부회장은 “두통이 심해지고 나서 두통약을 복용하면 약물을 과용하게 돼 약물과용두통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올바른 두통약 복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며, “두통약은 두통 시작 후 1시간 이내에 복용하고, 카페인 등 여러 성분이 섞인 복합진통제는 한 달에 9일 이하, 단순진통제는 14일 이하로 복용 횟수를 조절해야 한다. 그보다 많은 두통약이 필요할 정도면 두통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하므로 병원에 반드시 방문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