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대한공공의학회, 보건소 전문인력 양성교육 본격 추진 ‘눈길’
보건소 소장에 필요한 행정적 부분 교육 집중…의협 최초 공공의료 실행방안 시작
2015-11-23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대한의사협회(회장 추무진)와 대한공공의학회(회장 이준영)가 보건소 전문인력양성교육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로 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번 교육에 관심이 모아지는 이유는 전국 보건소 소장에 의사가 아닌 경우가 약 60%에 달하는 가운데 의협이 본격적인 움직임을 시작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그동안 의협은 각 지역 지자체에서 보건소장에 지원하는 의사가 없거나 적합한 의사가 없다며 행정직이나 보건직 직원들을 소장으로 임명해 논란이 될 경우 반대 성명서를 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번에 보건소장으로 갖추어야 할 실질적인 역량 교육을 진행해 의사이면서 행정력을 갖춘 인력 양성에 나서는 것이어서 기대감도 높은 상황이다.
대한공공의학회 이준영 회장은 “의사들의 공공의료에 대한 이해와 역량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며 “단순히 의사이기 때문에 보건소장이 될 수 있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준비된 인력을 양성한다는 측면에서 기대감이 높다”고 밝혔다.
실제 이 교육은 2016년 2월~3월부터 최고위과정처럼 보수교육형태로 진행될 예정이며, 보건소 운영을 위해 필요한 예산 및 입찰문제 등 정책적이면서 행정적인 실무에 대한 교육이 많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준영 회장은 “현재 의협과 함께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다”며 “약 12~16주 정도의 교육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한공공의학회는 지난 20일 국립중앙의료원 연구동 9층 대강당에서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공공보건위기 대응경험과 과제’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학술대회에는 ▲메르스 대응경험 및 과제 ▲의료기관의 감염병 대응 역량강화 ▲공공보건의료인력 역량강화 등 총 3개의 세션으로 진행됐다.
이준영 회장은“이번 학술대회에서 메르스에 대한 공공의 의료의 대응에 관한 반성과 복기는 매우 필요하다”며 “공공의료에 종사하는 회원님들의 역량강화에 대한 논의는 적절하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에 관심이 모아지는 이유는 전국 보건소 소장에 의사가 아닌 경우가 약 60%에 달하는 가운데 의협이 본격적인 움직임을 시작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그동안 의협은 각 지역 지자체에서 보건소장에 지원하는 의사가 없거나 적합한 의사가 없다며 행정직이나 보건직 직원들을 소장으로 임명해 논란이 될 경우 반대 성명서를 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번에 보건소장으로 갖추어야 할 실질적인 역량 교육을 진행해 의사이면서 행정력을 갖춘 인력 양성에 나서는 것이어서 기대감도 높은 상황이다.
대한공공의학회 이준영 회장은 “의사들의 공공의료에 대한 이해와 역량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며 “단순히 의사이기 때문에 보건소장이 될 수 있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준비된 인력을 양성한다는 측면에서 기대감이 높다”고 밝혔다.
실제 이 교육은 2016년 2월~3월부터 최고위과정처럼 보수교육형태로 진행될 예정이며, 보건소 운영을 위해 필요한 예산 및 입찰문제 등 정책적이면서 행정적인 실무에 대한 교육이 많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준영 회장은 “현재 의협과 함께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다”며 “약 12~16주 정도의 교육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한공공의학회는 지난 20일 국립중앙의료원 연구동 9층 대강당에서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공공보건위기 대응경험과 과제’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학술대회에는 ▲메르스 대응경험 및 과제 ▲의료기관의 감염병 대응 역량강화 ▲공공보건의료인력 역량강화 등 총 3개의 세션으로 진행됐다.
이준영 회장은“이번 학술대회에서 메르스에 대한 공공의 의료의 대응에 관한 반성과 복기는 매우 필요하다”며 “공공의료에 종사하는 회원님들의 역량강화에 대한 논의는 적절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