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당뇨병 환자 15명 중 1명만 혈당, 혈압, 지질 목표치 달성 비만환자는 조절율 더욱 떨어져, 대한당뇨병학회-국건영 자료 근거로 당뇨병 환자 질환 관리 정도 분석 2014-10-13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당뇨병 환자 15명 중 1명만 혈당, 혈압, 지질 목표치를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당뇨병학회(회장 최문기)가 최근 5개년(2008~2012)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근거해 당뇨병 환자들의 질환 관리 정도를 분석해본 결과 혈당, 혈압, 지질(LDL 콜레스테롤)을 모두 권장수치 미만으로 관리해, 당뇨병 합병증 위험요인을 사전에 잘 차단하는 환자가 15명 중 1명(6.5%)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비만한 당뇨병 환자(BMI 25≤)의 조절율은 더욱 떨어져 5.6%에 그쳤다.
학회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 중 혈당조절 목표(당화혈색소 6.5% 미만)에 도달한 환자는 26.3%, 혈압조절 목표(140/80mmHg 미만)에 도달한 환자는 51.2%, 지질조절 목표(LDL 콜레스테롤 100mg 미만)에 도달한 환자는 49.9%로 집계됐다.
이 세가지 모두를 권장수치대로 잘 조절하고 있는 환자는 6.5%에 불과했다. 당화혈색소 기준을 우리나라보다 좀 더 느슨한 미국당뇨병학회의 기준(당화혈색소 7% 미만)으로 했을 때도 약 12.2%만이 조절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비만도가 높을수록 혈당, 혈압 조절률과 통합조절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체중이 질환 관리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시켜줬다.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인 비만한 환자의 혈당 조절률은 23.4%로 25 미만인 환자의 28.6%보다 5.2% 낮았고, 혈압 조절률은 48.0%로 25 미만인 환자의 53.7%보다 5.7% 낮았다.
통합조절률에 있어서도 비만한 환자는 5.6%에 그친 반면, 비만하지 않은 환자는 7.3%로 좀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복부비만(허리둘레 남성 80cm 이상, 여성 90cm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에도 각 지표의 조절률 및 통합조절률이 낮았고, 복부비만의 영향은 여성에게 더 크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살펴봤을 때 30~40대의 젊은 당뇨병 환자들이 질환 관리에 더 소홀한 것으로 드러났다.
혈당조절 목표에 도달한 환자가 30대가 22.4%, 40대가 19.9%인 반면에 60대는 25.6%, 70대 이상은 33.7%로 나타났다. 특히 30대 남성의 혈당, 혈압 조절율이 각기 10.3%, 46.7%로 평균치에 크게 못 미쳤다.
우리나라 만 30세 이상의 성인 8명 중 1명이 당뇨병 환자(당뇨병 유병률 12.4%)이며, 약 400만 명이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한국과 같은 아시아에서 당뇨병이 빠르게 늘어나, 2030년에는 우리나라의 당뇨병 환자가 50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당뇨병 환자의 절반 정도(44.4%)가 BMI 25 이상인 비만 상태며, 54.6%는 고혈압을 동반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한당뇨병학회 권혁상 홍보이사는 “당뇨병 환자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나 분석 결과에서 드러난 대로 관리 정도는 미흡한 수준이다”며, “당뇨병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혈당 조절만 염두에 둘 것이 아니라 체중, 혈압, 지질 등 다양한 위험요인들을 함께 관리해 혈관 합병증 위험성을 낮춰야 하고, 특히 비만, 복부비만이 있을 경우 이러한 위험요인들의 조절율이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것이 확인된 만큼, 우선적으로 체중을 정상에 가깝게 감량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당뇨병학회는 당뇨병의 통합적 관리 필요성을 알리기 위한 ‘해피클로버’ 캠페인을 진행한다.
행복을 의미하는 클로버의 네 잎에 혈당, 혈압, 지질, 체중 등 당뇨병 합병증의 위험요인을 각기 대입해 ‘당뇨병 환자들의 행복한 건강관리가 혈당, 혈압, 지질, 체중 등 4가지 관리에서 시작한다’는 점을 전달하고자 하는 캠페인이다.
학회는 앞으로 주요 병원을 순회하면서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무료로 검진해주는 한편, 당뇨병의 통합적 관리에 대한 일반인 및 환자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책자 배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