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치과에 대한 모든 것]턱이 나와 보인다면…주걱턱 교정 관련 상담 필수
주걱턱은 하악이 앞쪽으로 돌출된 얼굴형으로, 유전이나 턱을 괴는 습관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다.턱의 위치가 어긋나면 음식을 제대로 씹기 어렵거나, 턱관절에 무리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제주 스타치과 교정과 치과의원 황인아(대한치과교정학회 정회원) 원장은 “하악이 과도하게 성장해 얼굴의 균형을 무너뜨린 상태...
2025-05-20 김지원
-
정부, 사직 전공의 복귀 위한 5월 추가모집 실시…의료계 5개 단체 “환영”
정부가 의료공백 해소와 전문의 수급 안정화를 위해 사직한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하는 추가모집을 5월말까지 실시한다고 밝힌 가운데 의료계 5개 단체는 환영의 입장을 보였다. (사진 : 연합뉴스)◆ 5월 말까지 전공의 추가모집…수련병원별로 자율적 실시보건복지부는 대한의학회,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병원협회 등 수련 현장의 건의...
2025-05-20 김영신
-
제8회 아시아·태평양 심장대사증후군 국제학술대회(APCMS) 주요 발표 내용①
심장대사증후군학회(회장 길병원 심장내과 한승환 교수, 이하 심대학)가 오는 5월 23일(금)부터 24일(토)까지 여의도콘래드호텔에서 ‘제 8회 아시아·태평양 심장대사증후군 국제학술대회(8th APCMS CONGRESS)’를 개최한다.‘Breaking Boundaries: Multi-disciplinary Cardio-Metabolic Landscape’라는 슬로건으로 개최되는 이번 학술대회에서 발표되는 주요 내용은...
2025-05-20 김영신
-
식약처 ㈜현대푸드시스템 제조시간 거짓 표시 확인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식품제조·가공업체 ‘(주)현대푸드시스템(전남 장성군 소재)’가 즉석섭취식품인 도시락, 샌드위치, 햄버거의 제조시간을 거짓으로 표시하여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사실을 적발해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행정처분 요청 및 고발 조치했다고 밝혔다.이번 점검 결과, 위반업체는 오...
2025-05-20 이다금
-
대한종양내과학회, 창립 20주년 춘계 심포지엄 개최…암 치료 현재와 미래 조망
대한종양내과학회(KSMO, 이사장 박준오)가 창립 20주년을 맞아 지난 16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2025 춘계 정기심포지엄 및 정기총회’를 개최, 암 치료의 현재와 미래 방향성을 집중 조명한다.이번 심포지엄은 연구자와 임상의, 산업계, 정책 전문가 등 약 5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정밀의료와 면역항암치료, 항암제 허가범위 ...
2025-05-20 김영신
-
정신의료기관 응급병상정보 공유시스템, 서울·경기 지역에 시범 운영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가 ‘정신의료기관 응급병상정보 공유시스템 구축 사업’의 수행기관으로 한국보건의료정보원(원장 염민섭)을 지정해 5월 19일부터 서울·경기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이번 사업은 제2차 정신건강복지 기본계획(2021∼2025)의 일환으로, 지역 기반의 정신응급 대응체계 확립을 위한 과제로 추진됐다. ...
2025-05-20 임재관
-
관상동맥질환 진단부터 예후까지 예측하는 딥러닝 모델 개발
급성 흉통으로 응급실을 찾는 환자에게는 빠르고 정확한 관상동맥질환 진단과 함께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심장질환의 가능성을 평가하는게 중요하다. 이러한 진단과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CT 혈관조영술을 실시하고 있지만 결과 판독이 나오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판독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이런 가운데 혈...
2025-05-20 김영신
-
‘간암’ 새 면역항암제 병용치료, 기존 치료제 대비 생존기간·객관적 반응률 개선 확인
간세포암종(HCC)에서 새로운 면역항암제 병용치료를 통해 기존 치료제보다 생존기간과 종양 감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과가 발표됐다.명지병원 소화기내과 박중원 연구팀은 기존 약물치료만으로는 한계가 있었던 수술 불가능한 간세포암종 환자에게 면역항암제 병용요법이 더 나은 치료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이는 간세포...
2025-05-20 김영신
-
암세포 선택적 파괴 신규 물질 ‘NBSD-Chol’ 개발…뇌종양 테라노스틱 소재
암은 전 세계적인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다. 특히 중추신경계에 발생하는 교모세포종(Glioblastoma, GBM)과 같은 난치성 암은 치료가 어렵고 환자 삶의 질도 심각하게 낮춘다. 교모세포종의 치료를 위해서는 수술적 기법과 화학 요법을 병행한다. 수술에서는 뇌의 복잡한 구조와 생물학적 중요도를 반영해 국소 절개를 시행한다. 수술의 난도가 ...
2025-05-20 김영신
-
국내 최초 유전정보 분석…흡연자 소세포폐암 발생위험 54.49배 높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이 30년 이상·20갑년 이상 흡연자의 소세포폐암 발생위험이 비흡연자 대비 54.49배 높으며, 소세포폐암 발생에 흡연이 기여하는 정도가 98.2%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국내 최초 유전정보 활용 흡연 유해성 분석이번 연구는 건강보험연구원과 연세대 보건대학원 지선하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수행했다....
2025-05-20 김영신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