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
여름철, 기온 2도 상승 시 모공 크기 1.5배 넓어져 각별한 모공 관리 필요
더운 여름철, 피부 분비가 왕성해지고 뜨거운 햇빛으로 인해 피부 열 노화가 발생하면 모공이 넓어져 고민하는 사람이 많다.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온이 2℃ 상승할 때마다 모공 크기가 약 1.5배 넓어지게 돼 여름철 각별한 모공관리가 필요하다. 모공이 넓어지게 되면 피부 탄력 저하는 물론 모공을 막고 있는 노폐물로 인해 트러블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름철 넓어진 모공으로 인해 고민이라면 우선 꼼꼼한 클렌징으로 노폐물과 피지를 깨끗이 씻어주는 것이 중요하며 모공을 관리해줄 수 있는 뷰티템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름철 넓어진 모공으로 고민인 사람을 위해 클렌징부터 스킨케어까지 단계별 모공 케어 뷰티템을 소개한다.
◆올리브 오일로 노폐물을 말끔히, 촉촉함까지 모공이 넓어지는 근본적인 이유는 과다한 피지분비로 특히 여름철은 왕성해지는 피지와 땀이 모공을 막아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어 깨끗한 클렌징이 중요하다.
특히 클렌징 제품 중 클렌징 오일은 피부에 밀착된 메이크업과 피지, 노폐물, 묵은 각질까지 말끔한 클렌징을 도와주면서 피부 외벽에 자연보호막을 형성해 촉촉함을 피부에 그대로 유지해준다.
DHC ‘딥 클렌징 오일’은 CAAE 인증을 받은 100% 스페인산 올리브 오일이 고함량 함유되어 피지와 노폐물, 묵은 각질까지 완벽하게 클렌징 해주는 올인원 클렌징 오일이다.
로즈마리 추출물, 토코페롤 등의 식물성 오일 배합으로 저자극 클렌징이 가능하며 오일이 물로 변해 끈적이거나 오일감이 느껴지지 않는 말끔한 사용감을 선사한다.
식물성 오일 성분이 매일 바르는 선크림부터 워터프루프 메이크업까지 한번에 깔끔하게 지워준다.
◆피지 조절에 도움을 주는 산뜻한 제형클렌징 단계에서 깨끗이 노폐물과 피지를 제거한 다음 모공 고민의 원인인 피지 분비를 조절해주는 스킨케어로 피부를 케어해주는 것을 추천한다.
아이소이 ‘산뜻! 에센스로션’ 은 피부 본연의 수분을 닮은 천연유래 성분을 활용해 유수분 밸런스를 맞추는데 도움을 주는 에센스 로션이다.
청량한 수분감이 가득한 제형으로 여름철에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유분이 과잉 분비되는 지성피부의 악순환을 차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아이소이의 민감케어 특허 성분인 ‘나투로 제이씨’가 함유되어 있어 피부자극 피부자극완화, 진정에 도움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모공에 탄력을 주어 촘촘하게 가꿔줘모공으로 인한 피부 탄력 저하로 칙칙하고 늘어진 피부 때문에 완벽한 모공 케어가 필요하다면 기초 단계에서 모공에 탄력을 주어 쫀쫀하게 조여주는 기능성 제품을 추천한다.
쏘내추럴 ‘포어 이펙트 타이트닝 스팟 에센스’ 는 즉각적인 쿨링감으로 도드라지게 모공이 넓어진 부위를 집중 관리해주는 제품이다.
또한 늘어난 모공 벽 사이의 탄력을 높여 모공을 타이트하게 조여줘 매끄러운 피부로 가꿔주며 특히 끈적임 없이 흡수되는 겔 타입의 제형으로 메이크업 후에도 화장이 밀리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2017-07-30 이다금
-
화장품 제조 11종 성분 위해평가 결과보고서 공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화장품 제조시 살균보존 목적으로 사용하는 파라벤,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칠이소치아졸리논(CMIT·MIT), 트리클로산 등 11종 성분에 대한 위해평가 결과보고서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소비자가 화장품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한 이번 정보는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의 투명성과 일관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화장품 업체가 제품을 개발하고 안전관리를 실시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마련했다.
이번 발표는 화장품 사용원료로 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모든 성분(살균보존제 등 159종)에 대한 위해평가 일환으로 이번에 공개하는 11종 성분에 이어 2017년 12월 타르색소 등 13종, 2018년 135종에 대한 결과를 점차적으로 확대해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위해평가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샴푸, 샤워젤, 얼굴크림 등 16종 화장품에 대한 사용량과 대상성분의 피부흡수율, 최대 사용 한도와 체중을 고려하여 실시했으며, 독성학, 피부과학 등 각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화장품 위해평가 과학자문위원회’ 검토를 거쳐 최종 결정했다.
화장품 사용량은 16종 화장품(샴푸, 손세척비누, 샤워젤, 헤어컨디셔너, 바디로션, 얼굴크림, 핸드크림, 비분무형 데오도런트, 헤어스타일링, 물휴지, 액체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리무버, 아이 메이크업, 마스카라, 립스틱, 아이라이너)에 대해 우리나라 사람들의 사용량이다.
파라벤을 위해 평가한 결과, 관련 규정에서 정한 최대 사용한도를 반영하여 0.8% 함유된 16종 화장품과 0.2% 함유된 치약·구중청량제를 모두 함께 매일 사용하더라도 안전한 수준이었다.
트리클로산의 경우 현재 최대 사용한도를 반영해 0.3% 함유된 인체세정용 제품(샤워젤·손세척 비누 2종)과 냄새 제거를 위한 데오도란트, 색조화장품(액체파운데이션·메이크업리무버) 같은 국소적용 제품을 모두 함께 매일 사용해도 안전한 수준이었다.
CMIT·MIT 위해평가에서는 0.0015%가 함유된 16종의 화장품을 매일 사용하는 경우에도 안전한 수준이었으며, 피부자극 평가에서도 0.0015% 함유된 샴푸·손세척비누 등 씻어내는 제품(4종)을 모두 함께 매일 사용하여도 피부 자극이 발생하지 않았다.
사용 후 씻어내는 제품은 16종 중 샴푸, 샤워젤, 손세척비누, 헤어컨디셔너 4종이 해당된다.
이외에 살균보존제 성분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클림바졸, 페닐살리실레이트, 메칠이소치아졸리논, 비페닐-2-올, 폴리(1-헥사메칠렌바이구아니드)에이치씨엘과 자외선차단성분 드로메트리졸 및 제조과정 중 비의도적으로 혼입될 수 있는 자일렌도 현재 기준 내 사용 시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안전평가원은“화장품과 같이 국민생활과 밀접한 제품들에 대한 위해평가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관련 정보를 공개해 정책의 신뢰성을 높이는 동시에 국민들이 안심하고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홈페이지’(www.nifds.go.kr)→ 위해평가 → 위해평가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화장품 원료 11종에 대한 위해평가 결과는 (http://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3548&page=0&sca=&sfl=&stx=&sst=&sod=&spt=0&page=0)를 참고하면 된다.
2017-07-05 이다금
-
지난해 연 매출 ㈜아모레퍼시픽 4조, LG생활건강 3조원 돌파
지난해 수출은 여전히 중국이 1위를 기록했으며, 연 매출은 ㈜아모레퍼시픽이 4조, LG생활건강이 3조원을 돌파했다.
이번 조사결과는 관세청·산업부·식약처(수출입), 보건복지부(통상) 등을 기반으로 보건산업에 가장 적합한 보건산업 통계분류체계(보건산업진흥원) 마련에 따라 산출된 것이다.
◆화장품 수출 꾸준히 증가 중 이에 따르면 2016년 화장품 수출액은 42억 달러(4.9조원)로 전년 대비 43%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15억 달러(1.7조원)로 전년 대비 3% 증가했다.
2016년 수출액 상위 국가는 중국(15.8억 달러, 33.0%↑), 홍콩(12.5억 달러, 81.0%↑), 미국(3.5억 달러, 45.6%↑) 등이며, 수출 1위국인 중국은 어려운 대외환경 여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화장품 총 수출의 37.6%를 차지했다.
또 홍콩에 대한 화장품 수출도 전년대비 큰 폭(81.0%)으로 증가했다.
2017년 1분기 화장품 수출액은 11.6억 달러(1.3조원)로 2016년 1분기 대비 35.3% 증가하며, 올해도 꾸준한 성장을 이어갔다.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한류의 영향으로 각각 118.1%, 265.5% 증가하여 1분기 수출을 견인했고, 한-캐나다 자유무역협정(FTA) 발효된 이후 2017년부터 화장품에 대한 무관세가 적용되면서 캐나다의 화장품 수출도 급증했다.
2017년 1분기 캐나다 화장품 수출액은 962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257.3% 증가했다.
◆전년대비…매출액 17%, 영업이익 20% 증가 상장 화장품기업(24개소) 매출액은 11.6조원으로 전년대비 17.0% 증가, 영업이익도 1.8조원으로 전년 대비 20.0% 증가했다.
2016년 매출액 기준으로 ㈜아모레퍼시픽은 연 매출액 4조원 이상, ㈜LG생활건강도 연 매출액 3조원을 넘어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2015년 세계 100대 화장품기업은 아모레퍼시픽(12위), LG생활건강(19위), 에이블씨엔씨(66위)이다.
화장품기업 연구개발비는 1,523억원으로 전년 대비 21.3% 증가했고,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1.3%로 나타났다.
상장 화장품 중소기업 중 벤처기업(8개사)의 연구개발비는 124억원으로 전년 대비(110억원) 12.7% 증가했으며,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2.1%로 상장 화장품 기업(1.3%)보다 높았다.
보건복지부 양성일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최근 보건산업 전 분야에서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보건산업이 미래 신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성과라고 평가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국민건강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성장하도록 보건의료 연구개발(R&D) 투자부터 임상시험, 제품화 및 수출까지 보건산업 전 주기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또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공약인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산업 육성 이행을 위해 올해 하반기에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산업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등 보건산업 발전을 체계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보건산업 부문별 수출입 현황, 보건산업 부문별 경영 성과, 보건산업 통계분류체계 개편은 (http://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3541&page=0&sca=&sfl=&stx=&sst=&sod=&spt=0&page=0)를 참고하면 된다.
2017-06-30 이다금
-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아모레퍼시픽-엘지생활건강-애경산업 순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 1위는 아모레퍼시픽이 차지했다. 뒤이어 엘지생활건강, 애경산업 등의 순이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2016년 우리나라 화장품 생산실적이 13조를 넘었고, 무역수지 흑자는 3조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생산실적…기초화장용>색조화장>두발용 순 2015년 화장품 생산실적이 사상처음 10조원을 넘어선데 이어 지난해 생산실적은 13조 514억원으로 21.6% 증가했으며, 20%가 넘은 성장률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이 7조 5,858억원(58.12%)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색조 화장용(2조 2,919억원, 17.56%), 두발용(1조 4,098억원, 10.8%), 인체 세정용(1조 1,637억원, 8.92%) 등의 순이었으며 최근 4년간 유형별 생산실적 순위가 같았다.
업체별로는 ‘(주)아모레퍼시픽’이 4조 3,899억원(33.64%)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주)엘지생활건강’이 3조 5,825억원(27.45%), ‘애경산업(주)’ 2,528억원(1.94%), ‘(주)이니스프리’ 1,961억원(1.50%), ‘(주)더페이스샵’이 1,692억원(1.30%) 등의 순이었다.
특히 품질이 우수한 마스크팩, 쿠션 등 제품의 수출호조에 힘입어 ㈜코스토리, 카버코리아, 더샘인터내셔널, 클리오 등이 생산실적 상위 20위내 업체로 신규 진입했다.
실제 코스토리(4,456% 증가), 카버코리아(201% 증가), 더샘인터내셔널(130% 증가), 클리오(77% 증가)의 성과를 보였다.
◆무역 흑자 3조 돌파화장품 무역수지는 2012년 처음 흑자로 돌아선 후 2014년 7억 5,250만달러(8,514억원), 2015년 15억 10만달러(1조 6,973억원), 2016년 30억 9,822만달러(3조 5,955억원)로 고속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41억 7,842만달러(4조 8,491억원)로 2015년(25억 8,780만달러, 2조 9,281억원) 대비 65.60%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 평균성장률도 39.76%에 달했다.
반면, 화장품 수입은 2015년 10억 8,770만달러(1조 2,307억원)대비 2016년 10억 8,020만달러(1조 2,536억원)로 소폭 감소했다.
◆화장품 수출…중국>홍콩>미국>일본 순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출한 국가는 중국으로 15억 6,971만 달러(1조 8,216억원)였으며, 홍콩(12억 4,409만달러, 1조 4,438억원), 미국(3억 4,697만달러, 4,027억원), 일본(1억 8,267만달러, 2,120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중국, 홍콩, 대만 등 중화권 국가의 비중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 화장품 본고장인 프랑스(138.4%), 이탈리아(246.6%), 스페인(276%) 등으로 수출지역이 다양화 되고 있으며, 특히 스페인, 이탈리아가 수출 상위 20위내 국가로 새로이 진입하였다.
또 지난해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 등 선진국에 수출된 실적은 6억 4,696만달러로 2015년(3억 6,578만달러) 대비 약 76.87% 증가했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프랑스(2억 9,381만달러, 3,409억 7천만원)였으며, 미국(2억 9,346만달러, 3,405억 6천만원), 일본(1억 7,056만달러, 1,979억 4천만원), 이탈리아(4,751만달러, 551억 4천만원), 영국(4,618만달러, 535억 9천만원) 등의 순이었다.
이들 상위 5개국 수입실적은 전체 78.83%이었으며, 상위 5개국은 전년 대비 변동이 없었다.
◆기능성 화장품 꾸준한 성장세지난해 기능성 화장품 생산 실적은 4조 4,439억원으로 2015년(3조 8,559억원) 대비 15.25% 증가했으며, 기능성화장품의 최근 5년간 성장률도 20.06%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지난해 미백 기능을 가진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은 5,796억원으로 ‘15년(3,558억원) 대비 62.90% 증가하였으며, 이는 깨끗하고 하얀 피부에 대한 선호도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5월부터 ‘염모, 제모, 탈모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 등 기능성 화장품 범위가 확대(3종→10종)됨에 따라 향후 기능성 화장품 시장의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능성 화장품 범위는 미백·주름·자외선차단(기존 3종) 및 염모제, 제모제, 탈염제, 탈모증상완화, 여드름성 피부완화, 아토피성 피부 건조함 개선, 튼살로 인한 붉은선 엷게 하는데 도움(7종 추가) 등으로 확대되어 있다.
손문기 식약처장은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이 고속 성장하고 있는 것은 기능성화장품 범위를 확대하는 등 적극적인 규제 개선과 지원 정책이 결실을 맺고 있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규제 당국자간 회의를 통해 우리나라 화장품이 원활히 수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안전과는 무관한 절차적 규제는 개선하여 뷰티한류가 전 세계로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016년 화장품 생산 및 수입 현황 자료[자료출처 : (사)대한화장품협회, (사)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는 (http://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3534&page=0&sca=&sfl=&stx=&sst=&sod=&spt=0&page=0)를 참고하면 된다. ▲연도별 화장품 생산 실적▲화장품 제조판매업체 현황▲화장품 유형별 생산 실적▲기능성 화장품 생산 실적▲상위 20개 제조판매업체 생산 실적 ▲상위 20개 품목 생산 실적 ▲우리나라의 국가별 화장품 수입 실적▲우리나라의 국가별 화장품 수출 실적
2017-06-28 이다금
-
라운지웨어 전문브랜드 ‘허밍라운지’, 신상품 출시기념 특별 프로모션 진행
에이랩멤버스 멀티 라운지웨어 전문브랜드 ‘허밍라운지(Humming Lounge)’가 모던한 디자인에 편안한 착용감까지 가미하여 민감한 피부를 가진 20대~40대 여성들까지도 마음껏 입을 수 있는 2017년 봄 신상품을 출시했다. 특히 별도의 임부 라인을 개설하여 임부+수유웨어의 임부복과 수유원피스를 선보였으며 기존의 임부복보다 편한 착용감으...
2017-06-27 편집국
-
뉴시니어라이프, 대한민국 시니어패션쇼 10주년 기념 공연 개최
사회적기업 뉴시니어라이프가 단체설립 10주년을 축하하는 패션쇼 공연을 5월 23일(화) 오후4시 테헤란로 섬유센터 3층 이벤트홀에서 갖는다. 이날 공연에는 50~91세 남녀모델 60명이 출연해 패션, 음악, 댄스 등 다채로운 내용으로 구성된 페스티벌 패션쇼를 80분간 펼친다. 뉴시니어라이프는 2007년 시니어패션쇼 프로그램을 창안해 비영리민간...
2017-06-27 편집국
-
그린조이, 여름 겨냥 ‘냉감 메쉬 소재’ 라운드 티셔츠 출시
그린조이가 여름을 겨냥해 ‘냉감 메쉬 소재’ 라운드 티셔츠를 선보였다. 그린조이는 최근 때 이른 더위가 찾아오면서 초경량, 초신축, 초속건의 기능성을 지닌 ‘냉감 메쉬 소재’를 활용한 라운드 티셔츠를 발 빠르게 출시했다. ‘냉감 메쉬 소재’는 땀 흡수가 빠르고, 금방 마르며, 바람이 잘 통하는 특성이 있다. 면보다 30% 이상 빠른 ...
2017-06-27 편집국
-
그린조이, 여름 휴가철 맞이 최대 50% 할인 행사 실시
그린조이가 여름 바캉스 시즌을 맞아 뛰어난 기능성과 활용도 높은 아이템을 최대 50% 할인하는 행사를 실시한다. 냉방병 예방은 물론 야외 활동 시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데일리 썸머 가디건’의 경우 세탁이 쉽고 빠른 건조가 가능해 출시 초기부터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또 땀을 빠르게 흡수하고 건조시키는 냉감 소재의 UV컷 쿨링 ...
2017-06-27 편집국
-
난초과 식물 막실라리아, 항산화·미백 효과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이 막실라리아가 항산화와 미백 효과가 있고, 그 향기를 맡으면 몸과 마음이 안정되고 주의집중력도 높아진다고 밝혔다.
막실라리아는 난초과 식물로서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잎이 동양란처럼 길고 가늘며 작은 풍선 모양의 벌브(Bulb)가 있다.
국내에선 막실라리아 테누이폴리아(Maxillaria tenuifolia)가 주로 재배되며 봄에서 초여름에 작은 꽃(1cm∼2cm 정도)에서 커피향 또는 코코넛향과 같은 특이한 향기가 난다.
농촌진흥청 화훼과에서 이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베타-카리오필렌(b-caryophyllene), 알파-코파인(a-copaene) 및 델타-데카락톤(d-decalactone) 등의 성분이 커피향 또는 코코넛향을 내는 것으로 밝혀냈다.
또 농촌진흥청에서 막실라리아 꽃 추출물을 이용해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성을 검증한 결과 항산화와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막실라리아 에탄올 추출물 125mg/mL 농도에선 약 20%, 250mg/mL에선 약 60% 멜라닌 생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항산화 활성을 검정하는 실험에서도 막실라리아 추출물이 막실라리아 에센셜 오일보다 항산화 작용을 하는 총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등 항산화 활성 효과가 아주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연구결과 막실라리아는 앞으로 산화작용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품 및 의약품 등의 소재로도 이용될 수 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관련 연구 성과를 특허출원했으며, 추가 실험을 통해 기술이전과 산업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농촌진흥청에서는 막실라리아 향기가 사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뇌파분석 예비실험도 진행했다.
꽃 향기를 맡은 사람의 뇌파측정 결과, 안정감을 느낄 때 많이 나타나는 전두엽 알파파의 비율이 무향 또는 커피 향을 맡은 사람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 뇌에서 주의집중력 지표인 상대적 베타파도 높게 나타나 주의집중력 향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돼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신수요성 향기 난류의 기능성 연구결과를 밝혀냄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또 침체된 화훼산업의 새로운 소득원으로 농가에 보탬이 되길 기대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화훼과 백윤수 박사는 “이번에 밝힌 막실라리아의 향기분석과 추출물의 다양한 효능검정 성과를 바탕으로 꽃향기의 산업화는 물론 인간과 꽃향기에 대한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며, 꽃향기가 생활 속에 머물게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2017-06-12 이다금
-
자외선주의보, 피부 갈증 해소해주는 일석이조 ‘수분충전’ 아이템
맑은 날씨가 이어지는 가운데 한낮 온도가 높아지고 자외선 지수가 높아짐에 따라 몸의 갈증뿐 아니라 건조한 피부로 인해 피부 갈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야외 활동 시 높은 온도와 햇빛을 쐬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예민해지기 때문에 피부 갈증을 해소해주는 수분관리가 필수다.
특히 더운 날씨에 여러 단계의 스킨케어를 덧바르기 어렵기 때문에 피부 고민에 따라 피부에 맞춤 수분케어 아이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최근 뷰티 업계에서는 촉촉한 수분 기능과 더불어 피부 정화, 항산화, 진정까지 함께 관리할 수 있는 업그레이드 된 똑똑한 수분 제품을 통해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촉촉하고 피부 정화하는 크레모랩 ‘오투 꾸뛰르 하이드라 인텐스 크림’크레모랩 ‘오투 꾸뛰르 하이드라 인텐스 크림’은 심해 온천수와 해양 보습인자가 피부 깊숙이 촉촉함을 채워주고 수분 보호막을 형성해준다.
크레모랩만의 독자성분인 심해온천수 T.E.N.™ Water와 피부를 맑게 정화해주는 산소 부스팅 성분인 ‘마린 옥시전 플라즈마™ (Marine Oxygen Plasma™)’가 피부 깊숙이 수분을 침투시켜주고 수분의 순환을 활성화시켜 맑고 촉촉한 피부로 가꿔주는 맞춤 제작된 산소 수분 케어를 선사한다.
특히 수분감 가득한 워터리한 제형이 끈적임 없이 산뜻하게 흡수되면서 뛰어난 보습 효과를 통해 속 건조 없는 촉촉한 피부로 가꿔줘 더운 여름철에 사용하기 제격이다.
◆뛰어난 수분력과 비타민C, E가 피부 손상을 막아주는 크리니크 ‘핑크 수분 캡슐 세럼’크리니크 ‘핑크 수분 캡슐 세럼’은 비타민C와 비타민 E 유도체가 캡슐화 되어 들어있어 피부에 닿는 순간 효능을 발휘해 항산화 작용을 하며 산화로 인한 피부 손상을 막아준다.
또 즉각적으로 수분 보유력을 높여주는 뛰어난 보습력과 수분 자석 폴리머가 수분을 피부에 머물도록 도와 오래도록 보습을 유지시켜 준다.
◆3가지 크기의 히알루론산이 촉촉하게 피부를 케어해주는 이너비 ‘아쿠아 쉴드 마스크’이너비 ‘아쿠아 쉴드 마스크’는 여름철을 맞이해 수분 조절 기능에 초점을 맞춰 피부 고민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영양(주름개선), 광채(미백), 진정(민감케어) 총 3종으로 선보였다.
고분자, 중분자, 저분자 세 가지 크기의 히알루론산을 함유해 다층구조인 피부층마다 수분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
특히 ‘아쿠아 쉴드 수분 진정 마스크’는 미세먼지, 바캉스 등으로 예민해진 피부를 진정시켜주는 고점도 수분젤리 제형을 도입했으며 병풀추출몰과 알로에추출물이 함유돼 피부 진정 효과가 뛰어나다.
2017-06-08 이다금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