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간
-
대한위장내시경학회, 제42회 추계학술대회 개최
대한위장내시경학회(회장 장웅기, 이사장 박근태)가 지난 9월 3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약 1,000명 이상이 참여한 가운데 제42회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총 4개의 방(▲구강, 식도, ▲대장암, 만성설사, ▲내시경 초중급반, ▲내시경실무자 내시경질관리 교육)에서 주요 내용이 소개되고, 통합강의를 통해 총 2개의 심포...
2023-09-06 김영신
-
대한장연구학회 ‘2023 염증성 장질환 건강강좌-힐링 투게더’ 개최
대한장연구학회(학회장 김태일,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가 ‘2023 염증성 장질환 건강강좌 – 힐링 투게더’를 개최한다.‘2023 염증성 장질환 건강강좌 – 힐링 투게더’는 염증성 장질환을 앓고 있는 환우 및 가족들과 염증성 장질환 전문 의료진 간의 소통을 통해 올바른 질환 치료, 관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함께 질...
2023-09-05 김영신
-
내과 기피현상 “내과 마지노선 임박” …의료사고 구제 해결 필수 등
내과가 마지노선에 임박했다는 진단이 제기됐다.
대한위대장내시경학회(회장 장웅기, 이사장 박근태) 조원영 총무이사는 지난 9월 3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개최한 제42회 추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의대생들 사이에서 내과 공부를 잘해야 내과 전문의를 안할 수 있다.”라는 말이 떠돌고 있는데 “이것이 현재 내과의 현주소이다.”라고 말했다.
2023-09-04 김영신
-
전 세계 25개국 간암 전문가 640명 한국에 집결…주요 특징은?
전 세계 25개국 640명의 간암 전문가들이 한국에 집결했다.아시아 태평양 간암 전문가 조직위원회는 지난 6일부터 8일까지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제13회 Asia-Pacific Primary Liver Cancer Expert Meeting 2023 (이하 APPLE 2023, 대회장 연세의대 병리과 박영년 교수)을 개최했다.‘Novel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Liver Cancer Management’라는 슬로건 ...
2023-07-08 김영신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Green Endoscopy TF 발족 ‘친환경 내시경’ 운동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가 Green Endoscopy TF를 발족해 국내 실정에 맞는 친환경 내시경 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친환경 운동 진행하는 이유는?소화기영역에서 내시경 검사는 자원 집약적인 검사로 전체 의료의 탄소배출에서 많은 영향을 준다. 실제 미국 소화기내시경실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은 이산화탄소 8만 6,000톤에 해당한...
2023-05-28 김영신
-
WHO, 한국 C형간염 퇴치 어려운 국가 분류…국가적 노력 절실
현재 우리나라는 WHO 2030 바이러스간염 퇴치 인증 기준에 도달하기 어려운 상태로 C형간염 퇴치가 어려운 국가로 분류되고 있다. 대한간학회(이사장 배시현)는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그랜드하얏트인천호텔에서 개최한 The Liver Week 2023 기자간담회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정책 입안 등의 국가적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고 ...
2023-05-25 김영신
-
비대상성 간경변증(말기 간경변증)환자 위험비, 5대암 사망보다 사망 위험도 더 높아
비대상성 간경변증(말기 간경변증)환자 위험비가 5대암 사망보다 사망 위험도가 더 높은 것은 물론 간경변증의 사회경제적 부담이 해가 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간학회 한국인 간질환 백서에 따르면 2003년 간장애인으로 등록된 환자가 3,108명에서 2020년 1만 3,808명으로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간경변증 요양급여 비용 ...
2023-05-24 김영신
-
대한간학회-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2030 Goodbye C형간염’ 공동캠페인 업무협약 체결
대한간학회(이사장 배시현)와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이사장 김필여)가 지난 22일 ‘2030 Goodbye C형간염 공동캠페인 업무협약식(MOU)’을 체결했다.이번 업무협약은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소속 강사진, 마약 투약 경험자, 가족들에게 C형간염의 위중성 및 조기 검진과 치료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고 적극적인 환자 관리의 필요성에 대...
2023-05-23 김영신
-
간암 예방 위한 최적의 B형간염 치료제는?…테노포비어 vs. 엔테카비어
2019년부터 간암 발생을 예방하는데 테노포비어와 엔테카비어 중 어느 약제가 더 우수한지에 대한 학술적 이슈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국내에도 많은 연구가 보고됐고, 대부분의 연구가 철저한 학술적 검증을 거쳤음에도 정립된 결론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일부 연구에는 간암 발생을 예방하는데 테노포비어가 더 우수하다는 연구 결과...
2023-05-23 김영신
-
새로운 평가지표 ‘MELD 3.0’ 응급 간이식 필요 대기자 더 효과적 반영 확인
새로운 평가지표인 ‘MELD 3.0’이 응급 간이식 필요 대기자를 더 효과적으로 반영한다는 것이 확인됐다.연세의대 이식외과 김덕기 교수가 세브란스병원에서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 등록된 이식대기자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5월 18일부터 20일까지 그랜드하얏트인천호텔에서 개최된 The Liver We...
2023-05-22 김영신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