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조무사의 근무기관종별 고용형태 중 정규직이 85.8%로서 정규직 비율은 높은 편이었지만,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경우에는 정규직 비율이 74.2%로 낮은 편이었다.
대한간호조무사협회(이하 간무협, 회장 홍옥녀)에 따르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하 보사연)조사결과 ‘근로환경 개선 등을 위한 간호조무사 활동 현황 및 활용방안’에 대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취업 간호조무사 근무기관별 근로기본권 확보 실태 및 근로 환경에 대한 인식 ▲간호조무사의 직무요인별 근로 특성 및 만족도 평가 ▲이직 간호조무사 인력의 이직 특성 및 구직 실태 파악을 통한 선호 근로조건 도출 ▲간호조무사 근무기관 장 및 관리자의 간호조무사 이직에 대한 인식 및 구인 실태 ▲간호조무사 인력 공급 및 수요 추계 ▲간호조무사 인력의 근무환경 및 근로여건 개선방안 제시를 주제로 연구됐다.
이번 설문조사를 통한 주관적 인식에 대한 조사이므로 객관적인 자료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8년 기준 간호조무사들의 근로계약서 작성 및 교부율은 54.9%에 불과하거나 41.05%는 공휴일임에도 휴식을 취하지 못하는 등 근로환경에서 기본적인 처우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음이 드러났다.
임금 분야에서는 정규직 간호조무사의 월 평균 임금총액은 약 210만원, 총 경력 5년 이상 10년 미만 정규직 평균도 약 202만원에 불과할 정도로 경력에 따른 임금 상승 체계는커녕 최저 임금선으로 결정되어 노동에 대한 동기부여가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 미취업 간호조무사의 마지막 근무기관에서 1년도 안돼 퇴직한 경우가 39.7%이며, 이들을 포함해 62.1%가 2년도 안돼 퇴직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사유는 낮은 보수를 1순위로 선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이외에도 이번 연구는 고령사회에 대비한 간호조무사의 수급을 추계했는데, 2025년까지 의과 및 방기요양기관의 간호조무사 공급은 17만 9,828명인 반면, 수요는 16만 5,345명으로 1만 4,483명의 초과공급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보사연은 “이번 연구를 통해 의료 및 복지기관 대체인력 지원제도 활성화와 취업정보 요건에 대한 관리 기능을 강화하는 형태로 취업 시장의 미스매치를 관리하여 통계상 초과공급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의 이직을 방지하는 등 구인난을 예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의 예산지원으로 간호조무사의 근무환경 및 근로실태를 파악하고, 간호조무사 관련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에 따라 황나미 보사연 책임연구원의 지도하에 수행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