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균이 해수에서 검출됐다. 이는 예년 대비 2~3개월 빠른 검출이다. 하지만 아직 해수 온도가 낮아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위험은 낮은 상황이라는 분석이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전남 영광군 법성포구, 함평군 월천포구 및 제주시 산지천 해수에서 올해 첫 번째로 비브리오패혈증균이 분리됐다고 22일 밝혔다.
전라남도 보건환경연구원 및 국립제주검역소가 지난 1월 14일 채수한 해수에서 비브리오패혈증균이 분리(2019년 1월 18일)된 것이다.
비브리오패혈증은 일반적으로 해수 온도가 18℃ 이상 상승하는 5~6월경 첫 환자가 발생해 8~9월에 환자가 집중 발생한다.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총괄과는 “아직 해수 온도가 낮아 환자 발생위험은 낮지만 강화된 비브리오패혈증균 환경감시를 지속 운영해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에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검출은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을 위해 질병관리본부가 11개 국립검역소 및 2개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인천, 전남)과 연계하여 운영중인 ‘해양환경 내 병원성 비브리오균 실험실 감시사업’을 통해 확인된 것이다.
2019년부터는 병원성 비브리오 감시사업의 감시 기간을 확대해 이전 하절기(4~10월)에만 감시하던 지점을 연중(1~12월) 감시체계로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