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립암센터, 서울대암연구소, KISTI와 ICGC 암유전체 국제심포지엄 개최 - ICGC-ARGO 지역데이터센터의성공적 운영 방안 모색
  • 기사등록 2018-11-30 01:55:12
기사수정

국립암센터가 서울대학교 암연구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3개 기관)와 공동으로 29일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1층 대강당에서 암유전체의학  전문가를 대상으로 ‘ICGC-ARGO RDPC’심포지엄을 개최했다.


3개 기관은 세계적인 암유전체 국제 컨소시엄인 ICGC( International Cancer Genome Consortium)-ARGO의 아시아 최초 지역데이터센터(RDPC, Regional Data Processing Center)를 최근 공동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행사는 각 기관의 인프라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지역데이터센터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부적으로 첫 번째 세션은 ‘ICGC-PCAWG/GA4GH의 대용량 유전체 데이터 센터의 경험’을 주제로 ▲전암의 전장 유전체 분석(크리스티나 융(Cristina Yung) 온타리오암연구소(OICR) 박사) ▲GA4GH 클라우드 워크 스트림: 클라우드에서 대규모 유전체 연구의 가능성(브라이언 오코너(Brian O'connor)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크루즈(UCSC) 교수) ▲한국의 PCAWG 연구(김영욱 서울삼성병원 교수)에 대한 내용으로 진행됐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한국의 유전체 인프라’를 주제로 ▲ARGO-RDPC를 위한 KISTI의 데이터 인프라(노서영 KISTI 대용량데이터허브센터장) ▲국립암센터의 대규모 암 빅데이터 연구(홍동완 국립암센터 임상유전체분석실장) ▲네트워크 및 AI 기술을 이용한 암 오믹스 데이터 분석(김선 서울대학교 교수) 강연이 이어졌다.


세 번째 세션은 ‘ICGC-ARGO RDPC: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 우리가 기대하는 것’을 주제로 ▲비 암호화 영역에서의 암 원인 돌연변이와 경로의 발견(유리 레이만(Juri Reimand)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교수) ▲ICGC-PCAWG RDC 및 ICGC-RDPC: 한국의 관점(고영일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한국의 암 유전체 연구- 우리가 한 일과 필요한 것(주영석 KAIST 교수) 강연이 마련됐다.


국립암센터 이은숙 원장은 “아시아 최초 ICGC 지역데이터센터 유치는 국내 유전체의학의 연구 수준과 빅데이터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로 지역데이터센터의 성공적 운영은 국립암센터가 지속 추진해 온 오픈 플랫폼을 통한 암 빅데이터 공유 및 중계를 가속화할 것이다”고 밝혔다. 

또 “이번 심포지엄이 지역데이터센터의 성공적 도입과 정착을 위한 초석을 다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849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신신제약, 한미, 큐라클,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국제약, 멀츠, 온코닉테라퓨틱스,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 동화약품, 셀트리온, 한소제약, 현대ADM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