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청소년기 흡연, 궤양성 대장염 위험 요인 첫 확인…조기 스크리닝 프로그램 필요 - 분당서울대병원 윤혁·전유경 교수팀
  • 기사등록 2025-02-18 22:50:04
기사수정

흡연 시작 연령이 염증성 장질환의 일종인 궤양성 대장염의 주요 위험 요인이라는 것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윤혁·전유경 교수팀은 흡연과 염증성 장질환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밝히기 위해 2009~2012년도 국내 건강검진 수검 데이터를 토대로 전국 650만 명 이상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장기간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결과, 흡연 시작 연령이 궤양성 대장염의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20세 이전에 흡연을 시작한 사람들은 비흡연자에 비해 궤양성 대장염 발병률이 약 2배 높았으며, 20~24세에 흡연 시작 시 1.73배, 25~29세는 1.68배 등 흡연을 시작한 연령이 낮을수록 궤양성 대장염 발병 위험이 증가했다. 


크론병의 경우 흡연 시작 연령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전유경 교수는 “염증성 장질환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난치성 질환으로, 식습관도 중요하지만 흡연 역시 중요한 요인이다. 흡연 시작 연령이 낮을수록 궤양성 대장염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점이 밝혀진 만큼, 청소년기 흡연 예방을 활성화하고, 염증성 장질환 고위험군에 대한 조기 스크리닝 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라며, “이번 연구는 청소년기 흡연이 장기적으로 궤양성 대장염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최초로 밝혀낸 연구로, 향후 흡연 예방 및 금연 정책 수립에 중요한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Yonsei Medical Journal’에 게재됐다.


한편 염증성 장질환은 장에 만성적인 염증이 발생하며 설사와 혈변, 피로, 체중감소 등을 지속적으로 겪는 난치성 질환으로,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이 대표적이다.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 등으로 젊은 연령대를 중심으로 발병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중 궤양성 대장염은 주로 대장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며, 소화관 어디든 발생하는 크론병보다는 예후가 나은 편이지만 발생 빈도가 높아 전체 염증성 장질환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그간 흡연은 이러한 염증성 장질환에 속한 두 질환에 대해 정반대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왔다. 크론병의 경우 흡연자의 발병 위험이 뚜렷하게 높지만, 궤양성 대장염은 금연 시 발병률이 오히려 증가하는 등 흡연이 유익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연은 체내 염증반응을 높이는 요인이기 때문에 이 같은 결과는 아직까지 학계의 의문으로 남아 있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596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1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로레알, 비보존, CJ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셀트리온, 펩트론, 한국애브비, GC녹십자웰빙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삼바, 지씨셀,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9A%94%ED%9E%98%EB%B9%88+%EA%B0%80%EA%B2%A9+Visit+our+website%3A%28ak55.kr%29&stx2=&w_section1=&sdate=&edate=" style="font-weight:;color:#333333;">[1월 16일 병원계 이모저모①]단국대, 명지, 삼성창원, 일산백병원 등 소식
  • 7 [1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③]중앙대광명, 한양대, 서남병원 등 소식
  • 8 2025년 의료계 신년하례회 개최…의협, 병협,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등 참석
  • 9 실손보험·비급여 개혁안 두고 이견…의료개혁특위, 개혁방안 초안 공개
  • 10 2025년 1월부터 소득 부과 건강보험료 정산제도 확대…소득의 변동 모두 보험료 적용
  •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