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환자의 수술 전 CT 영상을 3차원 증강현실 영상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실제 수술 영상 위에 구현하여 수술 중 간암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병원장 이재협) 간암센터 윤경철 교수와 갑상선암센터 채영준 교수팀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이 병원에서 간암으로 복강경 간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CT 영상을 수집하여 간암, 담도, 간혈관 등의 위치를 3D 증강현실로 구현하는 모델을 만들었다.
교수팀은 이 증강현실 모델을 실제 수술 중 녹화된 영상에 덧씌우는 작업을 진행하고, 정합 된 영상의 정확도를 평가했다.
이번 연구 결과, 연구진은 평균 3분 이내에 증강현실 영상을 수술 영상 위에 정합할 수 있었으며, 정합 정확도는 평균 93%였다.
이는 수술 중 증강현실 적용이 복강경 간암 수술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기여 가능함을 시사한다.
윤경철 교수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간암 수술을 위해 수술자의 경험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술 보조 기술이 필요하다. 이변 연구에서 개발한 간 증강현실 모델은 향후 복강경 간암 수술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SCI 학술지 Surgical Laparoscopy Endoscopy & Percutaneous Techniques 2024년 7월 온라인 호에 ‘Navigating the Future of 3D Laparoscopic Liver Surgeries: Visualization of Internal Anatomy on Laparoscopic Images With Augmented Reality’라는 내용으로 게재됐다.
한편 간은 크기가 크고 간 내 담도와 혈관이 매우 복잡하며 많은 분지를 형성하고 있어, 작은 간암 조직이 간 깊은 곳에 있을 경우 그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렵다.
이로 인해 간암을 충분한 안전 절제연(resection margin)을 확보하지 못하고 절제하거나, 담도와 혈관에 손상을 입혀 담즙 누출이나 출혈을 유발하기 쉽다.
특히 복강경 간암 수술에서는 손을 사용할 수 없고 시각에 의존하기 때문에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이해가 더욱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해부학적 구조를 시각화할 수 있는 다양한 수술 보조 기법들이 발전해 왔다.
그중 증강현실을 이용한 기법은 간 내 구조물들과 간암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