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연구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 코피가 터져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가 증가하며, 소아와 성인 모두 코피 발생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중앙대학교병원(병원장 이한준) 이비인후과 김경수·민현진 교수팀은 5년간(2015년~2019년) 이 병원에 코피 발생으로 내원한 1,557명의 소아와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온도, 습도 등의 기후인자 및 미세먼지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교수팀은 기상청에서 발표한 5년간의 기후 및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와 같은 기간 병원에 코피 발생으로 내원한 환자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날짜별 평균 미세먼지 농도와 평균 코피 발생 환자수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연중 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높았던 1월(51.38μg/m³), 2월(55.34μg/m³), 3월(58.66μg/m³)에 코피 발생으로 병원에 내원한 일평균 환자수는 각각 1.21명, 1.12명, 1.18명이었다.
반면 같은 기간 미세먼지 농도가 낮았던 7월(27.78μg/m³), 8월(25.14μg/m³), 9월(26.95μg/m³)의 경우 일평균 환자수가 0.52명, 0.63명, 0.90명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 코피 환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온도, 습도 등의 기후인자를 고려한 통계학적 분석을 통해서도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을 때 코피로 내원하는 환자의 숫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성인과 소아 모두 미세먼지 농도가 코피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인자인 것으로 확인됐다.
민현진 교수는 “지금까지 다양한 기후인자들과 코피의 발생이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논문들이 기존에 보고된바 있었지만, 미세먼지의 농도를 고려한 코피와의 인과관계를 밝힌 연구가 매우 드물었던 가운데 이번 연구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가 높으면 코피 발생 위험이 높다는 것을 새롭게 규명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세먼지가 코점막에 작용해 조직학적 변화를 유발하고, 염증 관련 물질을 증가시키는 등의 기전을 통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미세먼지가 나쁜 날에는 야외활동 시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코를 세게 푸는 등의 물리적 충격을 주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SCI급 국제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최신호에 ‘미세먼지와 코피 발생 상관관계(Particulate Matter 10(PM10) Is Associated with Epistaxis in Children and Adults)’라는 내용으로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