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약재 복합추출물 ‘황정’과 ‘연자육’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 확인 -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박두리 선임연구원 연구팀
  • 기사등록 2023-06-19 23:14:39
  • 수정 2023-06-19 23:14:59
기사수정

부인과 질환 치료에 주로 처방되는 ‘청공단’의 주 한약재인 연자육(연꽃 씨앗)과 황정의 복합 추출물이 갱년기 치료에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소장 하인혁) 박두리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난소절제 수술을 통해 갱년기 상태를 유도한 실험 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이어 쥐들을 황정∙연자육 단독 투여군과 황정∙연자육 복합 투여군, 합성에스트로겐 투여군으로 나눠 갱년기 치료 효과를 비교 분석했다.


각 그룹에 따라 한약재 추출물 및 합성에스트로겐을 6주간 구강 투여했으며 한약재 추출물은 모두 2가지 농도(300, 600 mg/kg)로 처리해 농도에 따른 변화를 살폈다.


또한 황정∙연자육 복합 추출물의 경우 가장 효능이 좋은 배합을 찾기 위해 1:1, 2:1 비율로 나눠 실험했다.

먼저 연구팀은 황정 및 연자육 추출물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자궁내막의 표피세포를 채집해 염색한 후 체내 여성호르몬의 기능을 돕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ERα)’와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ERβ)’의 발현량을 관찰했다.


ERα와 ERβ은 발현량이 많을수록 질 건조증을 억제하는 등 갱년기 증상 개선효과를 보이지만 ERα의 과도한 증가는 자궁내막 과형성과 같은 부작용의 가능성을 높인다.


실험 결과 합성에스트로겐 투여군의 경우 다른 치료군들에 비해 ERα의 발현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황정∙연자육 복합 투여군은 황정 및 연자육 단독 투여군보다도 ERβ의 발현량이 높으면서도 ERα의 발현은 억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황정∙연자육 복합 투여군이 부작용 없이 더욱 높은 안전성을 보인다고 해석했다.


또한 황정∙연자육 복합 추출물은 골다공증과 비만, 우울감 감소에도 더욱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각 치료군에 대한 경골 조직 촬영, 중성지방 및 세로토닌 농도 측정 등의 실험도 진행했다. 그 결과 모든 치료군 가운데 한약재 투여군의 중성지방과 골손실률이 더 낮았으며, 행복 호르몬인 세로토닌 혈중 농도는 높았다.


특히 황정∙연자육 복합 투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두드러진 개선 효과가 확인됐고 1:1 배합 비율보다 2:1 비율에서의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박두리 선임연구원은 “이번 논문을 통해 한의학에서 갱년기 치료에 주로 활용되는 한약재들을 복합 추출해 효과를 새롭게 확인했다”며, “갱년기 증상에 탁월한 치료 효과를 보이는 한의학 치료법을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SCI(E)급 국제학술지 ‘Nutrients (IF=6.706)’ 5월호에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5604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신신제약, 한미, 큐라클,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 한올, 큐레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씨월드, 셀트리온, 온코닉테라퓨틱스, 한국GSK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