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AI 흉부 의료영상 판독 보조 제품 임상효과 검증 추진 - 건양대-길병원-보라매병원, 컨소시엄 진행
  • 기사등록 2019-08-22 23:38:10
기사수정

인공지능 흉부 의료영상 판독 보조 제품의 임상적 효과 검증이 추진된다. 

건양대병원 영상의학과 조영준 교수팀은 보건복지부에서 공모한 2019년도 제2차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의 ‘디지털 헬스케어 효과검증 연구’ 과제에 선정돼 본격적인 검증작업에 착수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사업은 가천대길병원, 보라매병원과 컨소시엄을 이뤄 수행한다.

이번 사업은 세계적으로 보편적 진단 영상인 흉부 엑스레이 영상을 인공지능 흉부 의료영상 판독 보조 제품을 이용해 효과검증을 하는 것으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전 국민의 폐 건강을 체크 할 수 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연구책임자인 조영준 교수는 “이미지 형태의 의료데이터를 분석해 판독하는 AI 기술이 상당한 수준에 도달해 있다”며, “실제 임상현장에 도입 시 흉부 엑스레이의 폐 결절 진단율과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영상의학분야 AI 기술을 통해 의료의 질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사업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일반적으로 폐암은 기본검사인 흉부 엑스레이 영상으로 폐 결절(종양) 유무를 확인 후 CT 및 조직검사를 하는 단계로 들어가기 때문에 흉부 엑스레이상에서 암 여부를 의심하는 게 중요하다. 

흉부 엑스레이 영상 판독은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하는데 1, 2차 병원에서는 흉부영상 전문의를 만나기 어렵고, 대학병원에서 진료하기까지는 소요시간이 많아 조기진단이 늦어질 수 있다. 

하지만 흉부 엑스레이 검사 직후 인공지능 판독시스템으로 폐 결절 유무를 1차로 거를 수 있다면 시간과 인력,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 판독오류를 최소화하고 조기진단과 치료를 이끌어내 궁극적으로 국민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3213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신신제약, 한미, 큐라클,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 한올, 큐레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국제약, 셀트리온, 신신제약, 파로스아이바이오, GC녹십자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