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방광암 발생위험…비만남성 1.62배, 당뇨비만남성 2.88배 높아 -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활용, 20대이상 남성 82만6천명 대규모 관찰연구…
  • 기사등록 2018-04-24 23:06:47
기사수정

방광암(요로상피세포암) 발생위험이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높고, 당뇨까지 있다면 위험도는 더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암병원 비뇨기암센터 하유신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이용해 2004년부터 2008년까지 한 번 이상 건강 검진을 받은 20세 이상 성인남성 82만 6,170명을 대상으로 관찰연구를 시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 체질량지수가 25이상인 비만남성은 방광암 발생 위험이 정상체중 남성에 비해 1.62배 높았으며, 당뇨를 앓고 있으면 위험도가 더 크게 증가해 과체중 남성은 2.41배, 비만남성은 2.88배 높은 것을 확인했다. 


하유신 교수는 “과도한 지방조직이 축적되면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활성 산소를 증가시켜 만성염증을 유도하여 방광암 발병 위험도를 높일 수 있다”며, 비만과 암 발병과의 이전 연구를 종합해 설명했다.  


방광암은 방광에 생기는 악성 종양으로 2015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한국 남성 암 중 8번째로 발생빈도가 높게 보고됐다. 


비만과 당뇨가 여러 가지 악성 종양의 발병 위험인자라는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가 있었지만, 암의 종류와 인종 차이에 따른 결과에 논란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성을 가지는 대규모 인구집단의 장기간 관찰연구를 통해 비만과 방광암의 상관관계를 입증하여 향후 방광암의 예방이나 조기진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현재까지 방광암 위험 인자는 고령, 흡연, 업무로 의한 각종 화학 약품의 노출, 진통제 및 항암제, 감염 및 방광 결석, 방사선치료 등이 알려져 있다. 


하 교수는 “방광암은 통증없이 소변에 피가 보이는 증상이 전형적이나, 발병 초기에는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미세혈뇨를 동반하는 경우가 더 많을 수 있어, 혈뇨를 확인하기 위한 정기적인 소변검사가 효과적이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Cancer 1월호에 게재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533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국제약, 멀츠, 온코닉테라퓨틱스,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 동화약품, 셀트리온, 한소제약, 현대ADM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