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교수팀이 해외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난치성 폐암 개인맞춤 치료 후보물질 171개를 발굴해 눈길을 모으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영찬)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김현석 교수팀과 미국 텍사스주립대학 연구팀이 공동으로 대규모의 화학유전체 분석플랫폼을 개발해 이 같이 발굴하는데 성공해 난치성 폐암 표적치료를 위한 항암물질을 대규모로 발굴, 표적치료 분야의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입증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연구중심병원 육성R&D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생명과학분야 최고 권위지인 셀(Cell) 저널 온라인 판에 4월 19일자로 게재됐다.
연구팀은 전체 100가지 종류의 다양한 폐암세포주를 대상으로 20만 종 이상의 소분자물질 스크리닝 데이터와 유전체 빅데이터의 통합분석을 수행한 결과, 항암효능을 갖는 171개의 표적치료 후보물질과 동반진단법을 동시에 발굴했다.
특히 표적치료 방법이 전무했던 KRAS/KEAP1 동시변이, NOTCH2 변이 세포의 경우, 항암물질 발견과 더불어 표적치료를 가능케하는 타겟단백질과 약물 작용기전을 추가적으로 밝히는 데에 성공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김현석 교수는 “이번 연구는 화학유전체 연구방법론을 적용한 대규모의 표적치료 후보물질 발굴 연구로 장기간이 소요되었던 기존의 표적치료제 개발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고 설명했다.
또 “이번 연구에서 발굴한 신약 후보물질의 임상적용성을 검증하는 후속연구를 진행중이며, 동일한 분석플랫폼을 위암, 대장암, 췌장암 등에 적용하여 한국인의 대표 암질환에 항암효능이 있는 약물을 국내기술로 발굴해낼 것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표적치료제는 암세포만 집중 공격한다는 점에서 뛰어난 항암 치료제이지만 소수에 대해서만 약제가 개발되어 있어 대다수의 암환자들이 치료혜택을 받으려면 현재보다 훨씬 많은 수의 표적치료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 기존의 표적치료제 개발과정은 단일 타겟에 장기간에 걸친 기초 연구와 약물 스크리닝을 거쳐야 하므로 많은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