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영양실조(상병코드 E40~E46)’로 인해 진료를 받은 국민은 총 2만 2,326명이었으며, 이로 인한 총진료비는 약 47억9,000만 원에 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재근 의원(서울 도봉갑,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 영양실조 진료 환자는 2011년 3,833명, 2012년 4,751명에서 2013년 4,342명, 2014년 4,327명으로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지난해인 2015년 5,073명으로 증가했다.
반면 영양실조로 인한 총 진료비는 2011년 약 7억 원에서 2015년 약 13억 원으로 5년 새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나이가 많을수록 진료를 더 많이 받는 경향을 보였다.
지난해 인구 10만명 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80세 이상’이 107명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이어 ‘70대’가 42명, ‘60대’가 20명, ‘50대’가 7명 순이었다.
주목할 점은 ‘10세 이하’ 아동의 경우 인구 10만명 당 5명이 진료를 받아 ‘40대’와 ‘30대’(각각 4명)보다 높은 비율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성별로는 ‘여성’(인구 10만명당 13명)이 ‘남성’(7명)의 두 배 가까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강원도가 인구 10만명 당 31명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2015년 기준) 이어 대전이 29명, 세종이 22명, 전북과 전남이 각각 21명, 충북 19명 순으로 집계됐다.
가장 낮은 지역은 인구 10만 명당 3명의‘부산’과‘경남’이 차지했다.
소득분위별 현황을 살펴본 결과 소득이 높을수록 진료를 받는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소득 상위 10분위, 9분위 그룹의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각각 16명, 14명으로 다른 그룹에 비해 가장 높았으며, 이어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그룹이 11명, 8분위 그룹이 10명, 7분위 그룹이 8명 순으로 확인됐다.
기초생활수급자의 영양실조 진료현황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초생활수급자의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48.3명으로 전체(10명) 대비 4.8배 높게 나타났다.
이는 5년 전인 2011년(36.9명)에 비해서도 증가한 수치다. 또한 지난 5년간 기초생활수급자의 영양실조 관련 총 진료비는 약 13억1천만 원으로, 같은 기간 소득 상위 10분위 그룹의 총진료비(약 12억5천만 원)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인재근 의원은“영양실조가 증가세를 보이며 국민건강에 빨간불이 켜졌다. 정부의 정책에 구멍 난 곳은 없는지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다”며“정부는 국민 건강은 물론, 기초생활수급자를 비롯한 저소득층과 서민들이 영양실조로 인해 고통 받지 않도록 하루속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