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에 따르면 지난 2월 4주부터 4월 1주간 어린이집 영유아, 사회복지시설 이용 노인·장애인·아동, 임신부 등 약 623만 명의 감염취약계층 대상으로 총 4,158만 개의 신속항원검사키트가 무상 지원됐다.
◆3월부터 공급량 확대…지급범위도 확대
신속항원검사키트의 제한된 공급량을 고려해 2월은 면역수준이 낮고 집단생활로 인해 감염위험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어린이집(영유아·교사), 노인 사회복지시설(입소자)에 대해 우선 배포했다.
공급량이 늘어난 3월부터는 임신부, 장애인·아동 등 기타 사회복지시설 입소자, 중증장애인·기초생활수급자 등에 대해 순차적으로 주 1~2회분의 신속항원검사키트를 지급했다.
◆신속항원검사키트 약 440만 개 추가 지원 예정
4월 2주 이후에도 약 440만 개의 신속항원검사키트가 추가적으로 지원될 예정이다.
시·도 및 시·군·구별로 감염 취약성이 높아 지원이 시급한 시설·대상에 대해 배포토록 한다는 계획이다.
배포 시기는 조달 및 배송 시기 등에 따라 시·도 및 시·군·구별로 상이하다.
◆국비 581억원 확보
한편 보건복지부는 지난 2월 신속항원검사키트 무상 배포 결정(정부 합동 ‘신속항원검사 키트 수급 대응 TF’, 2.10)에 따라 2022년도 제1차 추가경정예산 심의를 거쳐 국비 581억원 규모의 예산을 확보한 바 있다.
이는 지난 2~3월 오미크론 변이의 빠른 확산세와 신속항원검사키트 수급 불안 우려에 대응하여 한시적으로 시행된 사업이다.
복지부는 “감염위험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취약대상에 대해 주 1~2회 사용 가능한 신속항원검사키트를 무상 지원해 구매부담을 완화하고, 자율적인 선제검사를 지원하기 위해 추진됐다”고 설명했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