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가 코로나19 백신의 감염 및 중증 예방효과를 분석했다.
분석대상은 접종완료자 발생 시작(4월 3일)부터 8월 14일까지 18세 이상 확진자 총 10만 5,255명이고,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확진자 중 87.9%, 위중증 환자 중 84.9%, 사망자 중 82.4%…미접종자
지난 4월부터 8월 14일까지 확진자와 위중증 및 사망자들의 예방접종력 분포를 분류한 결과 확진자 중 87.9%, 위중증 환자 중 84.9%, 사망자 중 82.4%는 미접종자였다.
▲백신 감염예방효과 82.6%
동일한 기간 동안 18세 이상 전체인구 4,411만 8,077명 중 미접종자 2,190만 8,930명을 비교집단으로 접종완료자와 코로나19 발병률을 비교한 결과 미접종군 대비 접종완료군에서 백신의 감염예방효과는 82.6%였다.
접종완료군에서 확진자는 2,383명이다. 10만 인일 당 발생률은 0.55명이었고, 미접종군에서는 92,500명이 확진되어 10만 인일 당 발생률은 3.18명이었다.
연령대 감염예방효과는 60세 이상에서 96.5%, 60세 미만에서 69.0%으로 나타났다.
60세 미만에서 감염예방효과가 낮은 것은 젊은 층에서의 유행상황과 동 연령대의 낮은 접종률 등의 영향으로 추정했다.
(표)접종완료자의 감염예방효과
◆추적관찰기간 종료된 6만 5,347명 대상 중증도 비교 결과는?
지난 5월 이후 확진자 중 위중증 및 사망 여부 확인을 위한 28일 동안 추적관찰기간이 종료된 사례 6만 5,347명을 대상으로 예방접종력에 따른 중증도를 비교했다.
▲중증예방효과 85.4%
전체 중증화율은 2.17%, 연령표준화 중증화율은 미접종군 2.40%, 1차접종군 0.97%, 접종완료군 0.35%로 나타나 중증예방효과 85.4%로 분석됐다.
▲사망예방효과 97.3%
전체 치명률 0.33%, 연령표준화 치명률은 미접종군 0.42%, 1차접종군 0.09%, 접종완료군 0.01%로 확인돼 사망예방효과는 97.3%로 분석됐다.
1) 각 접종군에 따른 연령분포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확진자의 연령구성비를 기준으로 표준화한 기대 사망자 수
ㆍ(위중증) 코로나19 감염자 중 추적관찰기간(28일) 내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의 치료를 받았던 사례 |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