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식약처, ‘2025 글로벌 바이오 콘퍼런스’ 서울서 3일간 개최 - MIT 로버트 랭거 교수 등 세계 석학 기조강연 등
  • 기사등록 2025-09-04 04:10:03
기사수정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가 9월 3일부터 3일간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바이오, 그 무한한 가능성을 향해’를 주제로 ‘2025 글로벌 바이오 콘퍼런스(GBC)’를 개최한다.


11회째 맞는 글로벌 바이오 축제

올해로 11번째를 맞는 GBC는 전 세계 바이오의약품 분야의 대표적인 국제 컨퍼런스로 자리매김했다. 

매년 각국 규제당국, 제약업계, 학계 전문가 등 약 5천 여명의 참가자들이 모여 바이오의약품 개발 동향을 공유하고 미래 발전방안을 논의하는 장이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첨단기술 발전으로 급변하는 전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동향과 전망을 조망하는 기조·특별강연과 함께 총 17개의 전문 포럼이 진행된다. 

또한 국제 규제조화 추진을 위해 유럽 EMA, 독일 PEI, 일본 PMDA, 에콰도르 ARCSA 등 해외 규제당국과의 협력 회의도 개최한다.


◆ 세계적 석학들의 바이오 미래 비전 제시

9월 3일 개회식에서는 세계적인 석학들이 기조강연에 나섰다. 

미국 MIT의 로버트 랭거 교수를 비롯해 WHO 의약품 및 보건의료접근 부문 유키코 나카타니 총괄 사무차장, UCLA 데니스 슬래먼 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진호 원장 등이 바이오 미래 기술과 규제혁신, 글로벌 협력 방안을 발표했다.

업계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김동중 부사장과 일라이릴리 제프리 프란서 글로벌 규제 정책 전략 총괄 부회장이 최신 바이오의약품 산업 동향을 공유했다.

◆ 백신부터 첨단바이오의약품까지 전방위 논의

9월 4일에는 백신 포럼, 유전자재조합의약품 포럼, 제11회 규제과학포럼 등 핵심 분야별 전문 포럼이 개최된다.

백신 포럼에서는 자가복제 RNA 등 새로운 플랫폼을 활용한 백신 심사와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을 통한 바이러스 안전성 평가 등 최근 글로벌 규제동향을 다룬다. 

유전자재조합의약품 포럼에서는 항체-약물 복합체, 이중특이성 항체의약품 등 차세대 치료제 개발 전망을 모색한다.


◆ 환자 중심 정책과 국제협력 강화

환자 안전 확보와 권익 제고를 위한 '환자중심 의료제품 분야 안전관리 정책토론회'도 진행된다. 

또한 ‘서태평양 지역 바이오의약품 국가규제체계 강화를 위한 핵심 협력 전략 워크숍’, ‘WHO PQ 인증 지원포럼’, ‘글로벌 제약혁신기술 GMP 세미나’ 등을 통해 국제협력을 강화한다.

9월 5일에는 글로벌 규제당국자 초청 워크숍과 바이오의약품 공급망 포럼, 첨단바이오의약품 정책 및 품질 포럼이 열린다. 

특히 국내 바이오 업계의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해 호주, 유럽, 일본, 태국 등 해외 규제기관 담당자와 국내 기업 간 1:1 미팅도 마련됐다.


◆ 차세대 바이오 인재 양성에도 주력

바이오의약품 공급망 포럼에서는 글로벌 백신 공급망의 최신 동향과 다변화 전략, 위기 대응을 위한 공급망 회복력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첨단바이오의약품 정책 및 품질 포럼에서는 빠르게 발전하는 첨단바이오의약품의 품질관리와 규제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 동물대체시험법과 청년 멘토링까지

이와 함께 ‘바이오의약품 동물대체시험법 워크숍’과 ‘동물대체시대의 지평선을 넘어’ 세션을 통해 오가노이드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동물대체시험법 개발·검증 동향을 살펴본다. 

바이오 분야 청년들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인 '바이오의약품, 내일을 부탁해'도 개최해 차세대 인재 양성에도 힘쓴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GBC가 글로벌 규제 협력의 장 역할과 함께 우리나라가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선도국가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983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8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 비보존제약, 셀트리온, 한미약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8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알피바이오, 한국화이자제약, 현대바이오사이언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8월 14일 병원계 이모저모①]가톨릭대, 서울대, 중앙대광명병원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