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CSL 시퀴러스코리아, 세포배양 인플루엔자 백신 ‘플루셀박스’ 국내 출시 - 세계 최초 세포배양 방식으로 계란 적응 변이 원천 차단 - 고령층 대상 면역증강 백신 ‘플루아드’ 비용효과성 입증
  • 기사등록 2025-07-23 19:10:03
기사수정

CSL 시퀴러스코리아가 23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세계 최초 세포배양 인플루엔자 백신 ‘플루셀박스쿼드프리필드시린지’와 고령층 대상 면역증강 백신 ‘플루아드쿼드프리필드시린지’를 국내에 소개하며, 새로운 인플루엔자 예방 전략을 제시했다.

◆세포배양 방식…백신 효과 한계 극복

기존 인플루엔자 백신은 고령층 면역력 저하, 백신과 유행 바이러스 간 균주 불일치, 바이러스 유전자 변이, 면역 각인 등으로 인해 효과에 한계가 있었다. 

특히 유정란 배양 과정에서 발생하는 계란 적응 변이는 백신 효과를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돼 왔다.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노지윤 교수는 “플루셀박스는 세포에서 분리된 바이러스를 사용해 포유류 세포에서 백신주를 증식시켜 계란 적응 변이를 원천적으로 차단한다”며 “WHO가 선정한 백신주의 항원성을 정확하게 구현해 기존 백신 대비 우수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사용 데이터로 입증된 우수한 예방 효과

미국에서 생후 6개월부터 64세까지 10만 6,779명을 대상으로 한 실사용 근거 분석 결과, 2023/24 인플루엔자 절기에 플루셀박스는 표준 유정란 배양 백신 대비 19.8% 더 높은 예방 효과를 보였다. 

또한 인플루엔자로 인한 입원율도 낮추는 효과가 확인됐다.


플루셀박스는 미국 FDA, 유럽 EMA, 영국 MHRA, 호주 TGA의 허가를 받은 유일한 세포배양 인플루엔자 백신이다. 

2024년부터 호주 국가예방접종사업에서 5~64세 인플루엔자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2025/26절기 국내 출시 예정이다.


◆고령층 대상 면역증강 백신의 경제적 가치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최민주 교수는 65세 이상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플루아드의 경제성 평가 결과도 발표했다. 

고령층에서는 백신 접종 후 면역 반응이 상대적으로 낮아 건강한 성인의 50~80% 수준인 백신 효과가 16~64% 수준으로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플루아드는 MF59 면역증강제를 포함해 고령층에서 강력하고 장기적인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기존 백신의 항체가 평균 6개월 이내 감소하는 반면, 플루아드는 접종 1년째에도 항체가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 백신 대비 우수한 비용효과성 입증

한국과 대만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경제성 분석에서 플루아드는 기존 표준 용량 4가 백신 대비 인플루엔자 발생 10만 6,654건, 증상 발현 사례 7만 1,352건, 입원 5,443건, 사망 1,275건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최민주 교수는 “플루아드는 1 QALY를 확보하는 데 필요한 비용이 약 2,200달러로 비용효과적”이라며 “사회적 관점에서 분석하면 백신 비용보다 효과가 우수한 결과가 도출됐다”고 밝혔다.

이어 “개원가에서 진료 시 승인된 연령과 적응증만 잘 따른다면 특별히 주의해야 할 부분은 없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유기승 CSL 시퀴러스코리아 대표이사는 “그간 미충족 수요가 존재했던 인플루엔자 예방 분야에 차별화된 선택지를 제공하게 되어 뜻깊다”며 “삼진제약과의 전략적 판매 제휴를 통해 더 많은 국민이 혁신적인 백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892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