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대한간학회, 2030년 간염 퇴치 목표 달성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 WHO 간염 퇴치 전략에 발맞춘 한국형 실행전략 모색 논의 - C형 간염 국가검진 확대와 B형간염 치료 확대 등 - 간염 기본법 제정을 통한 지속 가능한 법적 기반 마련 촉구
  • 기사등록 2025-07-23 01:30:02
기사수정

대한간학회가 지난 1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장종태 국회의원 주최로 ‘간염 정책 글로벌화를 통한 국민 간 건강권 보장 방안 정책토론회’를 개최해 2030년 WHO 바이러스 간염 퇴치 목표 달성을 위한 한국형 실행전략 모색과 C형 간염 국가검진 확대, B형간염 치료 확대, 간염 기본법 제정 등 보다 강력한 정책 추진 필요성을 논의했다.

◆ WHO 2030년 간염 퇴치 목표와 한국의 정책적 과제

세계보건기구(WHO)는 2030년까지 B형 및 C형 간염 퇴치를 목표로 설정하고 각국에 정책적 대응 강화를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제1차 바이러스 간염 관리 기본계획(2023–2027)’을 수립해 정책적 노력을 이어가고 있지만 현재의 대응만으로는 WHO가 제시한 2030년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극복하고 간염 퇴치를 가속화시키기 위한 보다 강력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 전환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토론회가 마련됐다. 

토론회는 권덕철 전 보건복지부 장관(전북대 석좌교수)과 김윤준 서울의대 교수(대한간학회 이사장)가 좌장을 맡아 진행됐다.


◆ 주요 발표 내용과 정책 개선 방안

주제발표에서는 장은선 교수(서울의대, 대한간학회 의료정책위원)가 국내외 바이러스 간염 정책의 비교와 향후 방향성을 소개했다. 

김인희 교수(전북의대, 대한간학회 의료정책이사)는 C형 간염 국가검진 확대 필요성과 사회적 파급 효과를 중심으로 정책 제안의 근거를 제시했다.

패널토론에는 기모란 교수(국립암센터), 정혜은 과장(보건복지부 건강증진과), 박영준 과장(질병관리청 감염병관리과), 윤구현 대표(간사랑동우회), 민태원 부국장(국민일보)이 참여해 실효성 있는 실행 전략을 중심으로 논의했다.

◆ 핵심 정책 과제 5가지 제시

참석자들은 C형 간염 국가검진 대상의 확대, C형 간염 진단-치료 연계 강화, B형 간염 항바이러스제 치료 대상의 확대 및 건강보험 급여기준 개선, ‘제1차 바이러스 간염 관리 기본계획’의 확대 적용, 거버넌스 체계 강화 등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무엇보다도 B형 및 C형 간염은 예방과 치료가 가능한 질환인 만큼, 퇴치를 위한 국가적 의지의 중요성에 공감대가 형성됐다.


◆ 정치권과 의료계의 강력한 의지 표명

장종태 국회의원은 “국가건강검진의 C형 간염 항체검사 대상을 현실에 맞게 확대하고 B형 간염 치료의 건강보험 급여 기준도 합리적으로 개선하여 치료 사각지대를 해소해야 한다”며, “간염 관리를 위한 특별법 제정을 통해 지속 가능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간염관리 거버넌스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윤준 대한간학회 이사장은 “간염은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예방 가능한 질환이지만, 여전히 많은 환자들이 진단조차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2030년 WHO 간염 퇴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정부, 의료계, 학계, 시민사회 등 각계의 공동 노력과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890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PLUVICTO vs. 중입자치료’ 등 첨단 암 치료법…장단점 및 해법은?
  •  기사 이미지 대한수혈학회 44차 학술대회, 헌혈제한 완화 및 첨단 세포치료 논의
  •  기사 이미지 대한두통학회, 국제 가이드라인 기반 맞춤형 두통 치료법 공유
대한골대사학회
대한두경부외과학회
위드헬스케어
캐논메디칼
올림푸스한국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