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110만 명 돌파, 전년동기 대비 4.3% 증가 - 신규일자리 1만 5천 개 창출로 고용시장 확대 지속 - 제약·의료기기·화장품·의료서비스 전 분야 고른 성장세
  • 기사등록 2025-06-28 22:00:03
기사수정

2025년 1분기 바이오헬스산업 전체 종사자 수가 110만 867명으로 전년 동기(105만 5,825명) 대비 4.3% 증가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 고용시장 확대 기조 지속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고용보험DB를 기초로 분석한 결과, 2025년 1분기 바이오헬스산업(제약·의료기기·화장품 제조업 및 의료서비스업) 고용 규모는 전 산업 대비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전체 산업 종사자 증가율이 1.0%에 그친 반면, 바이오헬스산업은 4.3%의 견조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특히 신규일자리 창출에서도 긍정적 결과를 보였다. 2025년 1분기 신규일자리는 1만 4,566개로 전년 동기(1만 4,156개) 대비 2.9% 증가했다. 


전체 산업 신규일자리가 1.7% 감소한 상황에서 바이오헬스산업의 고용창출력이 상대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 분야별 고용 현황

세부 분야별로 살펴보면 의료서비스업이 91만 3,080명(+4.4%)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제약산업은 8만 4,436명(+3.7%), 의료기기산업은 6만 2,939명(+1.0%), 화장품산업은 4만 412명(+7.3%)의 종사자를 고용하고 있다.


화장품산업이 7.3%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의료서비스업(4.4%), 제약산업(3.7%) 순으로 성장했다. 

의료기기산업은 1.0% 증가에 그쳤지만 전체적으로 모든 분야에서 플러스 성장을 유지했다.


▲ 연령대별 고용 특성

연령별 분석에서는 3039세가 31만 5,410명(28.7%)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29세 이하 26만 5,971명(24.2%), 4049세 25만 1,457명(22.8%), 50~59세 18만 6,547명(16.9%), 60세 이상 8만 7,098명(7.9%)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이 82만 5,140명(74.9%)으로 압도적 비중을 차지했으며, 남성은 27만 5,727명(25.1%)이었다. 이는 의료서비스업의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여성 중심 직종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 지역별 고용 분포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26만 8,464명(+6.0%)으로 가장 많은 종사자를 보유했으며, 서울 25만 1,546명(+3.3%), 부산 8만 1,610명(+3.7%) 순으로 나타났다.

세종시가 7.7% 증가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인천(7.3%), 경기(6.0%) 등 수도권 지역의 고용 증가가 두드러졌다.

◆ 신규일자리 특성

신규일자리는 보건·의료 종사자가 4,708개(32.3%)로 가장 많았고, 간호사 3,836개(26.3%), 의료기사·치료사·재활사 1,704개(11.7%), 의사·한의사 및 치과의사 1,429개(9.8%) 순으로 의료서비스 분야가 신규 채용을 주도했다.


연령별로는 29세 이하가 1만 2,055개(82.8%)로 압도적 비중을 차지해 청년층 고용 창출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841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