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3~4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셀트리온, 한국노바티스, 한국머크, 한국아스텔라스 등 소식
  • 기사등록 2025-04-06 10:00:03
기사수정

3~4월 제약사 주요 이모저모는 다음과 같다.


◆사노피, 희귀혈액질환 사업부 출범 5주년 기념 의료진 대상 심포지엄 개최

사노피의 한국법인이 국내 혈우병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사노피 혈우병 전문가 포럼 2025’를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사노피의 희귀혈액질환 사업부 국내 출범 5주년을 기념해 기획됐다. 

휴엔 센터장은 2018년 3월 이후 표준 반감기 제제에서 반감기 연장 제제로 전환한 호주 B형 혈우병 환자 59명에 대한 12개월 추적 관찰 결과를 발표했다. 

환자 중 89%가 중증이었음에도 추적 관찰기간 동안 전체 환자의 64.4%가 자발적 출혈을 경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영 원장은 혈액응고인자 제제를 투여할 경우 트롬빈 생성 정도와 혈전 탄성도 검사 지수에 주목해야 하며, 투여 용량이 지혈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설명했다.


◆셀트리온, 기업가치 제고 위한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셀트리온이 중장기적 기업가치 제고와 주주환원 극대화를 위한 ‘밸류업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2027년까지 매출 연평균 30% 이상 성장, ROE 7% 이상 달성, 주주환원율 40%로 확대 등을 목표로 한다. 

셀트리온은 올해 매출 목표 5조원을 달성하고, 원가율을 현재 45% 수준에서 2027년 연평균 20%대까지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배당, 자사주 매입과 소각 등을 통해 적극적인 주주환원을 추진하며, 작년에는 약 4,36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과 약 7천억원 이상의 자사주 소각을 완료했다.


◆한국노바티스 IL-17A 억제제 코센틱스, 소아·청소년 중증 판상건선에 건강보험 급여 적용

한국노바티스는 IL-17A 억제제 코센틱스가 소아·청소년 만성 중증 판상건선 치료에 건강보험 급여가 확대됐다고 밝혔다. 만 6세 이상 18세 미만의 중증 건선 환자들도 4월 1일부터 보험 급여를 통해 코센틱스 치료가 가능해졌다.

코센틱스는 이번 급여의 근거가 된 임상연구 A2310과 A2311를 통해 소아·청소년 중증 만성 판상 건선 환자를 대상으로 유의한 치료 효과를 확인했으며, 안전성 프로파일 또한 성인 대상 3상 연구 결과와 일관되게 나타났다.

임상연구 결과, 코센틱스 저용량 치료군에서 PASI 75 도달률 80.0%를 달성하는 등 위약 대비 우수한 치료 효과를 보였다. 4주 1회 투여로 기존 치료제 대비 긴 투여 간격을 적용해 치료 편의성도 높였다.


◆ 한국머크 바이오파마 ‘텝메코’ 건강보험 급여 적용

한국머크 바이오파마가 MET 엑손 14 결손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텝메코(성분명 테포티닙)가 4월 1일부터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받는다. 

이번 고시로 MET 엑손 14 결손이 확인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는 치료 차수와 관계없이 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텝메코의 급여 적용은 MET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 대상 대규모 2상 임상 VISION 연구를 근거로 이뤄졌다. 


조직생검으로 진단되어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환자에서 객관적 반응률 58.6%,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 15.9개월, 전체생존기간 29.7개월, 반응지속기간 중앙값 46.4개월의 강력하고 지속적인 임상적 효과를 나타냈다.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아인 환자에서도 일관된 임상적 유효성을 확인했다.


◆한국아스텔라스, 빌로이 국내 출시 기념 사내행사 진행

한국아스텔라스는 ‘전이성 위암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 혁신, 빌로이’를 주제로 빌로이(성분명:졸베툭시맙)의 국내 출시를 기념하는 사내행사를 진행했다. 

빌로이는 전이성 위암 1차 치료에서 HER2 음성 환자를 대상으로 승인된 최초의 표적치료제이자 세계 최초로 승인된 클라우딘 18.2 표적 항암제다. 

국내 전이성 위암 환자 중 약 90%가 HER2 음성이고, 이 중 약 40%가 클라우딘 18.2 양성으로 보고되어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높았던 영역에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조응태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680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월 제약사 이모저모]비보존제약, 지씨셀, 노보 노디스크,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월 18일 병원계 이모저모⑤]성빈센트, 아주대, 중앙대광명, 서남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3월 제약사 이모저모]동국제약, 삼성바이오에피스, 입센코리아, 다케다제약, 오가논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