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중증 천식 환자 새 치료제 ‘테즈파이어’ 국내 출시 예고
  • 기사등록 2025-02-18 22:10:04
기사수정

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이사 전세환)가 중증 천식 치료제 '테즈파이어(성분명: 테제펠루맙)'를 통한 중증 천식 치료의 새로운 혁신을 제시했다.


18일 서울롯데호텔월드에서 국내 출시 기념 기자간담회에서는 최초이자 유일하게 ‘인간 흉선 기질상 림포포이에틴(Thymic stromal lymphopoietin, 이하 TSLP)’을 차단하는 중증 천식 치료제 ‘테즈파이어’의 임상적 가치를 조명했다. 

◆중증 천식 질병 부담 속 새 치료 옵션 필요성 강조 

서울대학교병원 알레르기내과 박흥우 교수는 중증 천식의 질병 부담을 공유하고 새로운 치료 옵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흥우 교수는 중증 천식에 대해 환자 개인의 일상과 생명을 위협할 뿐 아니라 막대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초래하는 질환이라고 설명했다. 

중증 천식 환자들은 고용량 흡입 스테로이드제, 조절제 등 다양한 치료제를 사용함에도 증상이 조절되지 않아 일상과 직업 생활에 막대한 지장을 받는다. 

또,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로 인한 합병증, 잦은 입원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 등 복합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로 연간 급성 악화를 경험한 천식 환자는 전체 천식 환자의 절반(47%)에 육박하며, 조절되지 않는 천식 치료를 위해 일반 천식 환자의 5.3배의 의료비가 사용되고 있다. 

또 중증 천식으로 인해 직업 생활이 중단된 환자는 44.4%이다.


박 교수는 “생물학적제제의 등장으로 중증 천식 환자들의 예후가 개선됐지만, 여전히 미충족 수요가 존재한다.”라고 말했다. 

중증 천식 치료는 2형 염증과 비(非)2형 염증으로 분류되는 염증유형에 따라 표현형을 평가하고 그에 따라 치료제를 선택한다. 


2형 염증 환자를 위한 다양한 생물학적 제제가 등장하며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았다. 현재 천식 진단 및 치료의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질환 자체가 보이는 다양한 표현형에 있다.


각 표현형에 대한 명확한 바이오마커가 부족해 정확한 진단이 어렵고, 이는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비2형 염증 환자를 위한 치료 옵션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이에 박 교수는 “중증 천식은 환자 개인의 삶의 질 저하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큰 부담으로 이어지는 질환으로, 보다 효과적인 치료 대안이 절실한 상황이다.”라고 밝혔다.


◆테즈파이어 차별화된 기전과 임상적 유용성 소개

서울성모병원 알레르기내과 이화영 교수는 테즈파이어의 차별화된 기전과 임상적 유용성을 소개했다. 

이 교수는 테즈파이어가 천식 염증 연쇄 반응의 시작점에 위치한 TSLP를 차단함으로써 혈중 호산구, IgE, FeNO, IL-5 및 IL-13등 다양한 바이오마커와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키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이에 바이오마커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중증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가 가능해 중증 천식 치료의 패러다임이 전환됐다.”라며, “뿐만 아니라 계절 및 동반 질환 유무와 관계 없이 천식 악화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여 중증 천식 환자들의 치료 기회가 보다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테즈파이어는 임상 2상 PATHWAY 연구와 임상 3상 NAVIGATOR 연구를 통해 중증 천식 환자에서 천식 표현형 및 바이오마커 수치와 관계없이 천식 악화율을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다. 


성인 중증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한 PATHWAY 연구 결과, 치료 52주차에서 연간 천식 악화율은 테즈파이어 투여군이 0.20, 위약군이 0.72로 71% 감소했다(90% CI, 54 to 82; P<0.001). </p>


폐 기능 지표 중 하나인 FEV1에서는 치료 4주차부터 개선 효과가 나타나 치료 52주차엔 위약군 대비 0.13리터 높았다(95% CI, 0.03-0.23; P=0.009).

만 12세에서 80세까지 성인 및 청소년 중증 천식 환자로 대상을 확대한 NAVIGATOR 연구에서도 일관된 효과를 확인했다. 52주 투여 결과, 테즈파이어군의 연간 천식 악화율은 0.93으로, 위약군의 2.10 대비 56% 감소했다(rate ratio, 0.44; 95% CI, 0.37-0.53; P<0.001). </p>


입원 또는 응급실 방문과 연관된 중증 악화 발생률 역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FEV1은 테즈파이어 투여군이 0.23리터, 위약군이 0.09리터로 더 큰 개선폭을 보였으며(difference, 0.13L; 95% CI, 0.08-0.18; P<0.001), 치료 효과가 나타난 시점도 2주차로 앞당겨졌다. </p>


뿐만 아니라 104주간의 확장 연구 DESTINATION을 통해 최대 2년동안 우수한 내약성을 보였다. 장기 치료에도 위약 대비 낮은 이상반응 발생률을 보였고 천식 악화 개선 효과 또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효과를 확인했다.


◆“테즈파이어는 중증 천식 치료 새 지평 여는 혁신적인 치료제”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호흡기·면역 사업부 김지영 전무는 “테즈파이어는 중증 천식 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혁신적인 치료제이다. 항-TSLP이라는 차별화된 기전을 통해 바이오마커나 천식 표현형의 틀에서 벗어나 보다 많은 중증 천식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희망을 전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며, “앞으로도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중증 천식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을 높이고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국내 의료진 및 유관 기관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하며 중증 천식 치료의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테즈파이어는 천식 발병과 관련된 인자 중 하나인 TSLP를 차단함으로써 천식 표현형에 관계없이 광범위한 중증 천식 환자에서 증상을 조절하고 폐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인다. 

테즈파이어는 바이오마커의 한계를 넘어 중증 천식 환자들의 치료 기회를 확대했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2023년 ‘기존 치료에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는 12세 이상 중증 천식 환자의 추가 유지 치료’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았다.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595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1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로레알, 비보존, CJ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셀트리온, 펩트론, 한국애브비, GC녹십자웰빙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삼바, 지씨셀,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