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위생용품 시장규모, 5년 연속 증가 추세…주요 특징은? - 전년 대비 5.4% 증가, 일회용 타월 생산액 및 공급량 전년 대비 증가
  • 기사등록 2024-06-26 21:47:44
기사수정

위생용품 시장규모가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2023년 위생용품 시장규모는 전년(2조 7,362억 원) 대비 5.4% 증가한 2조 8,837억 원으로 2019년 이후 5년 연속 증가 추세라고 밝혔다.


2023년 위생용품 시장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핸드타월 등 일회용 타월 생산액 및 공급량 증가 추세

2023년 위생용품 총 생산액은 2조 3,595억 원으로 2022년 대비 3.7% 증가했다. 


생산액은 ▲화장지(9,597억 원) ▲일회용 기저귀(3,226억 원) ▲일회용 컵(2,958억 원) ▲일회용 타월(2,839억 원) ▲세척제(2,343억 원) 순으로 높았으며, 상위 5개 품목이 전체 생산액의 약 89%를 차지했다.


생산액 상위 품목 중 특히 일회용 타월(핸드타월, 키친타월) 생산액*의 경우 2023년 2,839억 원으로 전년 대비(2,576억 원) 10.2% 증가하여 상위 품목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일회용 타월 공급량도 2023년 13만 7,183톤으로 전년 대비 19.4% 증가했다. 이러한 현상은 팬데믹 이후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어린이용 기저귀 생산액 및 공급량 소폭 상승

2023년 어린이용 기저귀(위생깔개 포함)의 생산액은 2,222억 원, 공급량은 5만 9,436톤으로 전년(2,165억원, 5만 8,432톤) 대비 약 2.6%, 1.7%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23년 어린이용 기저귀 공급량은 2019년 공급량에 비해 약 22% 감소한 수준으로 우리나라 출산율 감소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일회용 숟가락·포크·나이프·컵 공급량 감소

엔데믹과 고물가의 영향으로 꾸준히 증가하던 배달음식 시장이 2023년 다소 감소하면서 일회용 숟가락·포크·나이프의 공급량도 전년 대비 각각 14.1%, 42.8%, 38.9% 감소했다. 


2023년 일회용 컵 공급량은 15만 4,649톤으로 2022년 대비 약 19.3% 감소했다. 


이는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다회용 컵을 사용하는 소비자가 증가한 영향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식약처 소비자위해예방국은 “이번 위생용품 통계자료가 위생용품 산업 분야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향후 관련 산업의 제품 분석·연구와 정부 정책수립 등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위생용품의 종류, ▲2023년 위생용품 생산실적 통계 참고자료 등은 (메디컬월드뉴스 자료실)을 참고하면 된다. 


위생용품 생산실적 자료는 매년 산업체, 연구기관, 관련 부처 등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누리집> 통계 > 통계간행물[통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182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존슨앤드존슨, 한미약품, 한올바이오파마, 한국GSK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1일 병원계 이모저모④]국립암센터, 동탄성심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6월 제약사 이모저모]비보존, 베이진, 사노피, 한국노바티스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