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제이메종, 찡카롱 등 마카롱 8개 브랜드, 황색포도상구균 또는 타르색소 초과 검출 - 더팬닝, 달달구리, 오감만족 등 8개 브랜드 표시사항 미흡
  • 기사등록 2019-05-23 18:05:51
기사수정

최근 화려한 색감과 쫀득한 식감으로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은 마카롱 선택에도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시중에 유통 중인 21개 브랜드[오프라인매장 6개 브랜드(3대백화점 별 2개 브랜드) 및 네이버쇼핑 랭킹 상위 15개 온라인몰 브랜드]의 마카롱 제품에 대한 안전성 시험과 표시실태 조사 등을 실시한 결과, 21개 브랜드 중 8개 브랜드(38.1%) 제품에서 황색포도상구균 또는 사용기준을 초과하는 타르색소가 검출됐다.


◆달달구리제과점,  제이메종 등 6개 브랜드…황색포도상구균 검출
21개 브랜드의 황색포도상구균 시험 결과, 달달구리제과점, 마리카롱, 미니롱, 에덴의 오븐, 제이메종, 찡카롱 등 6개 브랜드(28.6%) 제품이 관련 기준[식품공전(식약처고시 제2019-7호, 2019.1.31.)]에 부적합했다.
이 중 달달구리, 미니롱, 오감만족(에덴의 오븐) 등 3개 업체는 위생관리 개선 계획을 회신해왔으며, 마리카롱은 폐업했다. 다만 2개 업체(제이메종, 찡카롱)는 회신이 없었다.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은 대부분의 동물과 사람의 피부, 코점막 등에 존재하여 식중독뿐만 아니라 피부의 화농성질환을 일으키며, 공기나 토양, 하수 등에 널리 분포하는 균이다.  


◆르헤브드베베, 오나의마카롱 브랜드 타르색소 사용기준 초과
마카롱의 색을 내기 위해 사용하는 타르색소를 시험한 결과, 21개 브랜드 중 르헤브드베베(바닐라베리, 황색 제4호), 오나의마카롱(더블뽀또, 황색 제5호)(9.5%) 제품에서 황색 제4호, 황색 제5호 등이 기준을 초과해 사용됐다.
타르색소는 식품에 색을 내기위해 사용하는 식용색소로 우리나라는 9종(16품목)이 허용되어 있으며, 황색 제4호, 황색 제5호, 적색 제40호 등의 타르색소가 일부 어린이에게는 과잉행동의 원인이 될 수 있다.(영국식품기준청)
이에 르헤브드베베, 공간(오나의마카롱)는 타르색소 사용 저감 계획을 소비자원에 회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문제가 된 제품을 포함한 시중 유통 제품에 대해 위생 점검을 실시하고, 수거·검사 조치를 완료했다.

◆널담은마카롱, 러블리플라워케이크 등 8개 브랜드…표시사항 미흡
21개 브랜드 중 원재료명 등의 표시 의무가 있는 17개 브랜드의 표시사항을 확인한 결과, 널담은마카롱, 달달구리제과점, 더팬닝, 러블리플라워케이크, 마리카롱, 에덴의오븐, 제이메종, 찡카롱(47.1%) 제품이 표시가 미흡해 관련 기준[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제15483호, 2019.3.14.)] 에 부적합했다.
해당 업체들 중 조인앤조인(널담은마카롱), 달달구리, 오감만족(에덴의 오븐)는 제품 표시 개선 계획을 회신해왔고, 러블리플라워케이크는 마카롱 판매를 중단했으며, 마리카롱은 폐업했다. 하지만 더팬닝, 제이메종, 찡카롱는 회신이 없는 상황이다.
21개 브랜드 중 17개 브랜드는 식품제조·가공업 및 즉석·판매제조가공업으로 원재료명 등의 표시 의무가 있지만 4개 브랜드는 식품접객업 및 도소매업이어서 표시 의무가 없다.
한국소비자원 시험검사국 식품미생물팀은 “이번 시험 결과,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된 6개 브랜드 제품 모두 자가품질검사 의무가 없는 즉석판매제조·가공업(주로 온라인에서 판매)의 과자류 제품으로 나타나 소비자 안전 확보를 위해 마카롱을 자가품질검사 의무 품목으로 하는 식품위생법 개정이 필요하다”며, “이번 시험결과를 통해 기준에 부적합한 제품을 생산한 업체에 자발적 시정을 권고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식품위생법’의 자가품질검사기준 등의 개정(마카롱을 빵류에 포함하거나 자가품질검사 품목에 과자류를 추가)을 건의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한편 마카롱 안전실태 조사 결과, 종합시험결과표는 (바로가기)를 참고하면 된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3088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신신제약, 한미, 큐라클,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국제약, 멀츠, 온코닉테라퓨틱스,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 동화약품, 셀트리온, 한소제약, 현대ADM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