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WHO 기준 대비 FRAX 기준 적용시 약 28% 류마티스관절염환자 위험군서 누락 - 아주대병원 서창희 교수팀, 5년간 5개 대학병원 479명 환자 대상 조사결과
  • 기사등록 2019-03-11 22:56:07
기사수정

현재 우리나라가 사용하고 있는 WHO(세계보건기구) 기준 대비 골절위험도 예측프로그램(FRAX·Fracture Risk Assessment Tool)기준으로 보면 약 28%의 환자가 골다공증성 골절위험군에서 누락되어 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주대병원 류마티스내과 서창희 교수팀이 지난 5년(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동안 국내 5개 대학병원 479명의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WHO가 발표한 골밀도 기준과 FRAX을 각각 적용했다.
그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1.7±11.9, 성별은 여성이 426명(88.9%)이고, 353명(82.9%)은 폐경후였으며, 골절 경험이 있는 환자는 81명(16.9%)이었다.
골다공증성 골절위험군은 각각 226명(47.2%, 골밀도 수치를 포함한 FRAX), 292명(61%, 골밀도 수치를 제외한 FRAX), 160명(33.4%, WHO 기준)으로, 33%~61%로 서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WHO 기준은 골밀도 검사결과로 평가되고, FRAX는 골밀도 검사 외 다양한 임상적 위험요소들(연령, 성별, 체질량지수, 골절병력, 알코올 섭취, 흡연유무, 스테로이드제제 복용 유무, 류마티스 관절염 유무, 이차성 골다공증의 유무)을 고려해 향후 10년 내 골절위험도를 계산하여 간단하게 평가하는 프로그램이다.


서창희 교수는 “FRAX 기준은 나이, 성별, 골절경험 그리고 골절위험도에 큰 영향을 주는 ‘많은 용량의 스테로이드 사용’ 등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의 주요 위험요인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비교적 예측이 정확하다. 이에 현재 미국, 영국, 일본 등 국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며, “FRAX 기준을 실제로 국내 환자들에게 적용했을 때 약 28%의 환자가 골절위험군에서 빠져 치료대상에서 벗어나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위험군에 속하는 경우 특히 정기적으로 골밀도 검사를 받고, 미리 적극적으로 치료하여 골절 등 2차적인 질병을 예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지난 2018년 12월, Journal of Clinical Medicine(JCM, 임상의학저널)에 ‘Prevalence and Fracture Risk of Osteoporosis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 Multicenter Comparative Study of the FRAX and WHO Criteria(류머티스관절염 환자에서 골다공증 발병과 골절의 위험 : FRAX와 WHO 기준의 다기관 비교연구)’이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979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국제약, 멀츠, 온코닉테라퓨틱스,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 동화약품, 셀트리온, 한소제약, 현대ADM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